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수령의 해석과 입법방향 (The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Direction of Garrison Decre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1.08
30P 미리보기
위수령의 해석과 입법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4권 / 1호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이광원

    초록

    위수령에 대한 시민사회의 끊임없는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법학계의 위수령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여 규범의 개별적 내용은 물론 전체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여 입법방향을 제시하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수령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군사법제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고, 절차적으로 유효한 규범으로 존재하고 있다. 계엄과 같은 극단적 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행정관청의 요청에 따라 군이 치안을 유지하고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여전히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와 같이 위수령은 과거 권위주의 정부시절의 남용사례와 수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유효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비상경찰상황을 규율하는 규범의 하나로 사실상 자리 잡은 상태이다. 위수령에 대한 무지와 오해 또한 특별한 개선 없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위수령의 개별적 내용의 해석과 비판적 검토를 통해 위수령을 둘러싼 논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수령의 입법목적은 국내치안에 병력을 출동시키기 위한 것에 있지 않고 본래는 부대의 경비에 관한 일반규정을 마련하는 것에 있었다. 위수령에 규정된 병기사용도 위수근무자의 병기사용으로 군인복무규율상 초병의 무기사용과 같은 내용의 것이다. 병력출동, 병력파견과 같은 내용들은 모두 행정응원에 관한 규정으로서 일반행정기관의 질서유지업무를 보충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인데, 이를 국가권력이 적극적인 질서행정작용을 군대가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남용하였던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위수령의 본래적 의미내용을 밝히고, 그러한 의미내용과 달리 남용되었던 전례를 고려하여 위헌적 해석 및 그에 기한 공권력 행사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입법적 정비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Although civil society raised ceaseless questions on garrison decree, there were very slight studies on garrison decree in the academic world of Jurisprudence. There were few efforts to analyze both the individual contents and overall meanings of norms and so propose their legislative directions. The garrison decree is still established as one of our country's military law system, and still exists as a procedurally effective norm. Some people argue that our country still needs the systematical device through which the military can maintain public peace and ord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dministrative offices without having recourse to the extreme means such as martial law. Like this, in spite of many abuses and criticisms in the past authoritarian governments, the garrison decree has existed effectively until the present, and has been established in fact as the norm regulating emergency policy situation. The ignorance and misunderstanding of garrison decree also continues without special improvement.
    On the basis of such question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nd examine critically the individual contents of garrison decree and so present the directions of debate around garrison decree. The legislative purpose of garrison decree was not to mobilize military forces to domestic public peace and order, but to prepare originally the general regulation on guarding military units. The use of arms regulated by garrison decree is garrison duty soldiers' use of arms, which is the same as sentries' use of arms according to military standing orders. The contents such as military forces mobilization and military forces dispatch are all the regulations on administration assistance, which support supplementarily the order maintenance duty of general administrative offices. The national power abused such contents as the content that the military could carry out active order administration actions. This study revealed the original meaningful contents of garrison decree, and so considered the precedents abused unlike such meaningful contents, and then argued that legislative arrangement was required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exercising governmental authority on the basis of un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