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 문제 -한국 법체계의 한 병리- (The Binding Effect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A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3.11
32P 미리보기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 문제 -한국 법체계의 한 병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주법학 / 17권 / 3호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안준홍

    초록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사이의 다툼은 1987년 헌법체제에서 헌법재판이 활성화되는 발전상(發展相)의 부작용(副作用) 중 하나이다.
    이 문제를 현대의 대표적인 법철학자 중 한 사람인 H.L.A.하트의 법이론에 기초해서 고찰하면, 한국법체계의 한 병리현상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무엇이 법인가에 관한 승인규칙의 통일성이 공직자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붕괴된 경우로서, 어떤 헌법문제에 관하여 그리고 그것에 대해서만 공직자들 사이에 분열이 있어서 사법부의 분열을 초래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한국 법체계의 병리는 표면적 차원과 이면적 차원으로 나누어서 진단할 수 있다. 표면적 차원의 병리는 어떤 법률이나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에 법원이 기속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그와 상충되는 판결을 해서 무엇이 법이며 당사자의 법적 권리의무가 무엇인지가 혼돈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이면적 차원의 병리는 그러한 갈등 때문에 야기될 수 있는 두 기관의 무리한 법해석•적용이다. 헌법재판소가 한정위헌결정을 회피하고 대법원이 위헌법률심판제청을 회피할 때 이런 후자의 병리가 의심되는데, 군형법 추행죄 관련 판례들을 살펴보면 이런 병리현상이 발견된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는 입법적 해법 뿐 아니라 관행의 형성과 정착을 통한 해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히 행정관행의 형성과 그 과정에서 대통령의 역할에 주목한다. 대통령과 행정기관은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할 헌법적 책임이 있으므로,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권한갈등 때문에 생기는 법질서의 혼동과 국민의 법적 권리 구제 실패라는 병리를 행정관행 형성을 통해서 일부라도 치유할 헌법적 책임이 있다. 현실적 가능성의 면에서도,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관하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기존의 견해를 바꾸어서 조화로운 관행이 정착되기보다는 행정관행의 형성과 정착을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dispute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ver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is one of the side effects of the development phase in which constitutional trials are activated in the 1987 constitutional system.
    Based on the legal theory of H.L.A. Hart, one of the leading modern legal philosophers, this problem can be diagnosed as a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This is because the unity of the rules of recognition what is a law has partially collapsed among public officials,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division among public officials regarding certain constitutional issues and only about them, resulting in a division of the judiciary.
    The pathology of the Korean legal system regarding the binding effect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can be diagnosed by dividing it into a surface dimension and a back dimension. On the surface, the courts claim that they are not boun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then issue conflicting decisions, leading to confusion about what is the law and what the parties'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are. Pathology at the back dimension is the un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by the two institutions that can result from such conflicts. This latter pathology is suspected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avoids limited constitutionality decisions and the Supreme Court avoids judicial review petitions, which can be seen in the case law on Indecent Act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seek not only legislative solutions, but also solutions through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practices. This study focuses in particular on the formation of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the role of the president in that process. Since the president and the executive branch are constitutionally responsible for upholding the Constitution and guarantee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they have a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to heal the pathology of the legal system and failure to remedy the legal rights of the people caused by the conflict of powers of the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rough the formation of administrative practices. In terms of realistic possib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higher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through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practices rather than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changing their existing views on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and establishing harmonious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