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Using imagination to trace causes of the failure of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09.12
21P 미리보기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47권 / 4호 / 97 ~ 117페이지
    · 저자명 : 오욱환

    초록

    상상력만으로도, 한국의 교육정책들이 실패를 거듭하는 이유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현상을 의도적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왜곡시킨다.
    2. 정책의 목적을 혼동하며 모순된 목적들을 동시에 해결하려는 오류를 범한다.
    3. 정책 대상 집단의 복합성을 파악하지 못한 채 정책을 구상하고 집행한다.
    4. 정책의 효과를 과도하게 홍보함으로써 실패를 자초한다.
    5. 구상에서 실행 사이에 변질됨으로써 초심의 참신함과 의욕이 사라진다.
    6. 성과에 대한 조급함 때문에, 결실의 적기(適期)를 놓친다.
    7. 정권 간의 적대감 때문에, 전임 정권의 정책이 실효에 관계없이 중단된다.
    8. 통제에 의존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지지, 동의, 수용, 묵인 과정을 빠뜨린다.
    9. 정권의 정통성과 정책결정자들의 권위가 취약하여 호응을 받지 못한다.
    10. 다양한 이익집단의 존재를 경시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반대에 부닥친다.
    11. 공리주의와 이기주의의 괴리가 정책결정자들에게도 일어나고 있다.
    12. 한국사회에 만연해 있는 공격적 평등주의에 직면하여 저항에 부닥친다.
    13. 정책의 구상과 집행에 즉흥성과 직감이 지배한다.
    14. 과시를 위해서 굳이 정책으로 공표함으로써 주목을 받고 갈등을 초래한다.
    15. 정책결정권자들이 주도권에 집착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을 무력화시킨다.

    교육정책은 교육력의 향상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정권이나 정당의 지지도를 높이는 데나 개인적 출세나 공명에 이용되지 말아야 한다. 교육정책을 위한 연구도 정책을 윤색하는 데 동원되어서는 안 되며 구상의 타당성과 실행의 실효성이 객관적으로 면밀하게 검토되는 데 집중되어야 한다. 정책에 대한 여론은 공적 가치를 표방하며 형성되지만 사적 이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여론의 공정성에 대해 주목해야 하며 피지배집단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세심하게 배려해야 하고 적극적으로 가청(可聽) 범위를 넓혀야 한다.

    영어초록

    Only by using imagination, we can trace various causes of the failure of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some of which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failure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authorities concerned, or the policy-makers and -executors, do the following:
    1. Intentionally simplifying variegated educational phenomena.
    2. Daring to achieve mutually inconsistent goals.
    3. Conceptualizing and executing policies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target groups.
    4. Exaggerating the effect of policies in advance.
    5. Losing initial originality and enthusiasm in the process of putting ideas into practice.
    6. Missing the opportune time due to impatience.
    7. Discontinuing policies proposed and execu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on account of
    hostility between political parties.
    8. Losing support, agreement, acceptance, approvement because of overusing control.
    9. Not getting support from the public due to their weak basis of authority and legitimacy.
    10. Being confronted with unexpected opposition caused by neglecting various interest groups.
    11. Mixing up public and private matters even within their inner circle.
    12. Being faced with resistance from the aggressive egalitarianism prevailing among the
    Korean people.
    13. Being stricken by impromptu and spur-of-the-moment decision from the initial stage of a policy through to its final stage.
    14. Causing unnecessary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ed groups by propagandizing a policy in order to get attention and show off.
    15. Making educational agents powerless by greedily seeking and maintaining heg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