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 조선시대 외부세력의 제주진입과 제주여성 (The Advance of the Outer Forces into Jeju and Jeju Women's Lives with them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08.08
30P 미리보기
고려 · 조선시대 외부세력의 제주진입과 제주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32호 / 143 ~ 172페이지
    · 저자명 : 김일우

    초록

    역사적으로 제주는 지정학적 위치와 관련해 외부세력이 밀어닥쳐 커다란 격변을 종종 겪곤 했다. 또한 제주문화도 다양한 경로의 외부문화가 수용되어 토착 · 융합화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다 보니, 여느 지역에 비해 보다 더 복합성을 띠곤 한다. 이러한 점은 제주여성의 삶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고 하겠다.
    삼별초의 제주입거와 몽골족의 제주지배 및 왜구의 침탈 등과 같이,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대규모의 외부세력이 제주에 밀어닥쳤을 때, 제주사회는 격변과 공포에 휩싸이곤 했다. 이 와중에 ‘아기업개’와 열녀정씨 및 ‘예청’ 등의 예처럼, 제주여성의 경우는 여느 지역의 여성과는 차별화되는 삶을 살았던 한편, 적극적 사회참여 의식을 지녀 외부세력의 진입으로 말미암아 야기되는 제주사회의 현안을 해결하는데 앞장섰다. 또는 외부세력과의 융합을 통해 제주문화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이에 ‘아기업개’와 열녀정씨 및 ‘예청’ 등의 삶은 제주가 지닌 지리적 위치와 관련한 제주역사의 전개 및 그 정체성과 아울러, 제주문화의 복합성을 반영하고, 또한 이해하는 데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게다가, 현재의 추세도 그러하나, 앞으로 더욱더 양성평등의 시대와 여성의 사회참여가 열려 나아갈 것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외부세력이 제주에 진입해 들어왔을 때 이들과 맞물렸던 제주여성의 삶은 선구자적 모습으로서도 의미가 적지 않다고 본다.

    영어초록

    Historically, Jeju used to undergo a big upheaval from the surge of the external powers coming into the region due to its geopolitical position. Such influences from outside have made its culture more complex, compared to those of other regions, as different cultures, introduced through various channels, were incorporated and harmonized into its original culture. Such elements can be also seen through Jeju women's lives.
    Whenever massive external forces came over Jeju island such as in the arrival of Sambyeolcho(the Three Elite Patrols of Goryeo), the occupation by Mongols and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over the periods, Jeju society was heavily shaken and struck in terror. In those hard times, Jeju women took the lead in tiding over the difficult situation, making their live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other regions. Sometimes, the influences from the outer forces helped broaden its native culture through blending. Those three proverbial cases—‘Ae- gi-eop-gae’(a legend of a baby-sitter); the virtuous woman, Mrs. Jeong; and ‘Yeocheong’(a Jeju dialect for housewife)—are significant in re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its history and identity, providing the clues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its culture.
    It is clear that more and more women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enjoy the equal opportunity between men and women in it, as the current trend continue to progress. In this context, it is quite worthwhile to look into the lives of the leading women pioneers who faced the adverse situations bravely caused by the external forces in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