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부 선정영향력이 기술발전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Process of Government’s Selection Force Lead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Private Secto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8.11
31P 미리보기
정부 선정영향력이 기술발전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혁신학회지 / 13권 / 4호 / 125 ~ 155페이지
    · 저자명 : 김현식, 배성주, 한상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은 선진국을 추격하는 국가에서 기술발전에 정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정부의 선정영향력이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민간 영역에 어떻게 연계되어 기술발전을 이끌어주는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정부 선정영향력의 발생과 확산 과정은 제도적 환경에 기반한 정부의 선정영향력이 기술분야별 투자전략을 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selection), 정부의 선정영향력은 적합한 탐색 전략에 따라 공동 탐색과 학습 과정을 거쳐 민간영역의 연구개발활동에 영향을 주는 형태로 진행(variation)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 연 단위 284개, 10년치(’07~’16) 합계 총 2,840개의 기술분야별 패널데이터와 연구개발활동조사 연 단위 35개, 10년치(’06~’15) 합계 총 350개의 기술분야별 패널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정부 선정영향력을 결정하는 규제적, 규범적, 문화인지적 요인 등의 제도적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선택이 탐색전략을 병행하면 공동탐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정부선택이 공동탐색을 거치면 민간연구개발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정부R&D 투자방향에 포함된 기술분야를 규제를 통해 의무적으로 반영하고 전문가적 가치관이 반영된 전년도 정부연구비와 민간매칭연구비가 높을수록, 전년도 논문과 특허등록에 기여한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기술분야에서 기존에 잘 하던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새로운 영역에 대한 창의·도전적 연구를 확대하는 탐색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그리고 정부R&D를 통한 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한 성과물이 민간에 이전되고 사업화되어 민간R&D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n order to research the impact of government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hasing advanced countries such as our countr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overnment's selection force on which factors were determined and linked to the private sector to lea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is a government's selection force based o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government's selection force is refl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investment strategies by technology fields.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government's selection force is conducted in a form that affects R&D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through collaborative search and learning processes according to appropriate search strategies. For this purpose, We were utilized for analysis 284 national R&D project research analysis data per year, 10 years (’07-’16) total of 2,840 technical field-specific panel data and a total of 350 panel data for each technical field including 35 units of R&D activity surveys per year (’06-’15).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regulative, normative, and cultural-cognitive factors that determine the influence on the government's sele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And The collaborative search could be increased if the government's selection combines a search strategy,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at the collaborative search could increase the privat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So,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reflect the technology fields that includes the S&T basic plan, government R&D investment direction through regulation. The higher the previous year's government research funds and private matching research funds reflected in professional values,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 previous year's papers and patents were contribu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focus on R&D in ways that the country has traditionally performed well in the technology fields that the country strategically fosters, and to expand creative and challenging research in new areas. And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it empirically that the outcome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government R&D could be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and commercialized, increasing private R&D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혁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