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색채와 구조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색채와 구조물 영향력 탐구물 영향력 탐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or and Structures on Pedestrian at Crosswalk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4.12
10P 미리보기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색채와 구조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색채와 구조물 영향력 탐구물 영향력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8호 / 11 ~ 20페이지
    · 저자명 : 서윤석, 조택연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오늘날 보행자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보행자 안전 구조물이 추가되고 있다. 하지만 보행자와 차량이 만나는 횡단보도에서의 사고는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전체 보행자 사고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보행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높은 사고 사망률은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률의 지표가 되며, 이러한 사고는 보행자 분리 시설이 불분명한 지역에서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보행자가 도로에 진입하는 횡단보도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안전 장치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보행자 안전장치로 시행되고 있는 노란 발자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양한 안전 구조물을 분석했다. 보행자가 자발적으로 관심과 참여를 보인 넛지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주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란 발자국과 안전색상을 결합해 설계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가설은“횡단보도 발자국 패턴의 색상은 보행자의 공간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고, 4개 변수(하위 요인)를 A(발자국 패턴 없음), B(노란색 발자국), C(노란 발자국-안전색상 발자국), D(3색 안전색상 발자국 위치 변화)로 설정하여 총 36개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적 일관성이 0.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 지수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보행자는 보도와 가장 가까운 횡단보도로 진입하여 접근성을 우선시하였지만, 안전색상이 적용된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였을 때 보다 안전한 공간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행자에게 안전색상이 적용된 안전 구조물이 색상의 대비로 공간 선택의 차이를 보이는 것도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보행자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넛지 디자인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교통사고 예방에 있어서도 운전자에게 보행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지만, 보행자도 안전한 공간을 인식하고 도로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 위치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도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행자를 유도하기 위한 보다 안전하고 친근한 방법을 고안하고 보행자를 안전한 공간으로 유도하는 방법 중 넛지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 금지의 디자인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넛지 디자인을 활용하여 안전구조를 구상하고 보행자에게 안전색상과 안전 구조물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지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안전구조물의 경우, 사용자의 반발심을 고려하여 사용에 주의를 요해야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the pedestrian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and various pedestrian safety structures are being added. However, accidents at crosswalks where pedestrians and vehicles meet still occur frequently, and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of all pedestrian accidents. When a pedestrian accident occurs, the high accident fatality rate indicates the pedestrian traffic accident fatality rate, and such accidents often occur in areas where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ies are unclear. Therefore, the need for more efficient safety devices for crosswalks where pedestrians enter the road has been recognized. Accordingly, the validity of yellow footprints, which have recently been implemented as a pedestrian safety device, was verified, and various safety structures were analyzed. Through a nudge design case study in which pedestrians voluntarily showed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yellow footprints, which are mainly implemented in children's protection zones, were combined with safety colors to design. (Metho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defined as “The color of the crosswalk footprint pattern will affect pedestrians’ spatial selection.” The four variables (sub-factors) were set as A (no footprint pattern), B (yellow footprint), C (yellow footprint-safe color footprint), and D (change in location of three-color safe color footprint),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6 ques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0.7 or higher, which is a very high-reliability index. (Results) Pedestrians entered the crosswalk closest to the sidewalk and prioritized accessibility,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y moved to a safer space when safety structures with safety colors were provid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safety structures with safety colors applied to pedestrians showed differences in space selection due to color contrast, and thes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nudge design provided for pedestrian safety was effective. (Conclusions) In terms of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providing drivers with pedestrian location information is an important task, but it is also important for pedestrians to recognize safe spaces and select locations as safe spaces where they can obtain more information about the road. In this study, we designed a safer and more friendly way to guide pedestrians to spaces where they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oad, and it was found that nudge design was more effective than prohibition design among methods to guide pedestrians to safe spaces. It is necessary to design safety structures using nudge design and further strengthen education on safety colors and safety structures for pedestrians. Finally, in the case of safety structures containing prohibition messages,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using them considering the user's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