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민전의 성립과 그 생산력적 배경 (The Formation of Minjeon(民田, the People's Estate) and It's Background of Agricultural Productive Power in the Goryo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6.08
40P 미리보기
고려시대 민전의 성립과 그 생산력적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63호 / 3 ~ 42페이지
    · 저자명 : 위은숙

    초록

    民田이라는 지목은 한국역사상 고려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민전은 신라의 농민보유지인 烟受有田畓을 계승한 것으로 같은 농민보유지이지만 양자 간에는 차이가 분명하다. 연수유전답이 ‘국가로부터 받은 토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반해 민전은 민의 토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말여초의 사회변동을 거치면서 명실공히 농민적 소유권의 발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민전은 양계지역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국가가 지급하지 않았으며, 신라통일기의 연수유전답을 고려에서는 농민의 사실상 소유지로 국가가 인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고려에서 토지지목을 공전과 사전으로 구분하는 것은 당제의 영향을 받았지만, 민전이라는 용어는 당의 균전제가 붕괴된 이후 양세법이 시행될 때 등장하는 용어이다. 민전에 대한 전품별 수세와 1/10세법은 양세법 이후에 등장하였다. 전품별수세는 토지의 평균적 수확이 예측 가능해야 하므로 안정된 농업생산력이 전제조건이었다.
    고려에서 한국역사상 처음으로 민전에서 전품별수세가 가능했던 것은 농업생산력수준이 연작상경전을 기준으로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민전의 세율 또한 양세법하의 민전세율을 참고하여 1/10세를 시행하였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의 농업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보건대 고려이후 농경지가 확대되고 시비술과 수리시설의 발전, 축력농기구의 사용 등이 발전해 갔던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달성한 농경지의 연작상경화는 농업노동과 토지의 긴밀화의 전제가 되었으며, 이러한 농업기술상의 발전을 토대로 농민의 사실상의 소유지인 민전이 성립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term of Minjeon(民田) appears first in the Goryeo Dynasty. Minjeon as private lands of farmers has been developed from a land category called Yeonsu-yujeondap(烟受有田畓) which is seen in the document of family registration of the Shilla Dynasty. Yeonsu-yujeondap and Minjeon are change of meaning from ‘lands of Yeon(烟) endowed by a nation’ to ‘lands of normal people’, not just difference in writing terms simply. Namely, they are reflected by development of land ownerships of farmers.
    Goryeo was greatly influenced by systems of the Tang Dynasty as it made land systems. Various land categories were too. Terms of Gongjeon (公田) and Sajeon (私田) were influenced by Gyunjeonje (均田制, equal-field system) of Tang. But, the term of Minjeon in Tang is a word which came out as Yangsebeop (兩稅法, tax system according to levels of assets) was established after the equal-field system was collapsed. Goryeo used Minjeon together with terms of Gongjeon and Sajeon. Especially, Minjeon is classified into the 3rd class Gongjeon. However, 1/10 tax systems about Minjoen and tax system of classified by land grade are judged to be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Minjeon in a stage of Yangsebeop.
    In tax system of classified by land grade, because average harvest must be predictable, stable agricultural productivity was a pre-condition. Therefore, like China in the stage of Yangsebeop, since a repeated cultivation method was generalized in Goryeo, it was a possibl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