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정 소통매체로서의 영화와 도덕적 상상력 (Film as the Communicating Medium of Emotion and Moral Imagin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0.07
21P 미리보기
감정 소통매체로서의 영화와 도덕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61권 / 3호 / 259 ~ 279페이지
    · 저자명 : 김혜련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영화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편집된 자각소와 서사를 통해 어떻게 관람자로부터 특정한 감정을 이끌어내며, 영화가 감정소통 매체로 기능할 때 어떤 독특한 방식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활성화하는지를 보이는 데에 있다.
    먼저 나는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인지적․정서적 효과를 환기하는지를 보이기 위해 영화의 스크린 이미지의 독특한 구성적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서사적 영화가 감정소통기제로 기능할 때, 영화에 의해 유도되는 허구적 감정과 일상적 감정이 상당부분 중첩된다는 것을 제시한다.
    셋째, 영화 스크린의 표면 디자인이 관람자의 정서를 환기시키는 방식은 서사에 의한 방식과 매우 상이하며, 그 차이는 영화적 재현 또는 묘사의 독특한 특징을 이룬다. 넷째, 감정의 전달 또는 표현은 수용자의 배경 지식이나 심리적 태도에 따라 상대적이다.
    다섯째, 서사를 포함하는 예술들이 갖는 도덕적 유의미성 또는 함의를 갖는다는 사실은 예술 경험이 우리의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와 연관된다.
    여섯째, 실험심리학과 뇌신경학의 최근 연구의 흐름을 따라가면서 뇌가 언어와 문화에 속한 정보를 서사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인지적 감정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비개념적 또는 선-지향적 지각소에 반응하면서 기본 감정과 도덕 감정을 실현하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 논의는 스크린 이미지와 도덕적 감수성 또는 도덕적 상상력의 긴밀한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영화를 통한 감정 교육과 도덕 교육의 전망을 탐색하는 이론적 기초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e paper is to show how film can induce a particular emotion from the spectator through visual and auditory images, and in what unique ways film can vitalize moral imagination.
    I begin with some basic assumptions from which I should be able to achieve the main theses of the paper. First, I analyze the structural features of film image in order to show the ways that the film can giv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to the audience. Second, I assume that much of film-induced emotions are overlapped with real emotions in everyday life.
    Third, film can express affective force or feelings through the surface design of the screen image as well as film-narratives. Fourth, communicating emotions or expressing emotions by way of visual arrays of the screen image can vary in accord with the different degrees of the audience's knowledge of the conventions of the artworld. Fifth, I assume that art can give moral knowledge about others as well as the film audience herself while responding sympathetically or empathically to the film. Through this type of engaging experience, the audience can know about oneself, her moral sensitivity and beliefs.
    Finally, I attempt to show that FMRI technique can be a useful apparatus to explore the interplay between brain and mind. Diegetic effects of the film or montage-images can trigger pre-intentional affective system on the part of the audience through giving stimuli to the various parts of prefrontal cortex. In this way, I will show the promising outlook of using the findings of neuroscience as the resource for moral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