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 요인, 혈중 렙틴 농도의 효과 (Prognostic Value of Lept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2.06
9P 미리보기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 요인, 혈중 렙틴 농도의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15권 / 2호 / 99 ~ 107페이지
    · 저자명 : 홍지현, 최윤선, 이소진, 곽상미, 이준영

    초록

    목적: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은 치료의 이득과 위해를 판단하는 잣대가 되고, 적절한 의료 중재 제공 및 환자의 자율성에 기초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많은 수의 말기암환자는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으로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Table 5.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rvival Time (N=61).
    Variable Multivariate N HR*95% CI† (HR)P value‡Sex Male 271.616 0.762 (3.429)0.2108 Female 341.000  Age (years)610.979 0.951 (1.007)0.1410 Leptin 611.000 1.000 (1.000)0.1855 Blood test White blood cell 611.078 0.998 (1.165)0.0564 Aspartate aminotransferase 611.004 1.000 (1.009)0.0659 Alanine aminotransferase 610.987 0.971 (1.004)0.1320 Total bilirubin 611.056 1.009 (1.106)0.0196 Albumin 610.337 0.180 (0.630)0.0007 C-reative protein 611.002 0.997 (1.007)0.4296 Digestive organ cancer (esophagus, stomach, duodenum, colorectum, hepatobilliary tract, pancreas) Yes 350.758 0.335 (1.715)0.5054 No 261.000 *HR: hazard ratio, †95% CI: 95% Hazard ratio confidential interval, ‡P value by multivariat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하였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3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혈장 렙틴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나이, 성별, 원발암 부위, 암 치료 경력, 전이여부, 투약상황 및 활력 증후, 백혈구 수, 혈색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반응성 단백질, 총 빌리루빈, 총 콜레스테롤, 알부민, 렙틴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렙틴 농도와 성별, 나이, 백혈구 수, 혈색소, AST, ALT, 총 빌리루빈, C-반응성 단백질, 통증강도 등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렙틴과 생존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단변량 분석한 결과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경계수준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백혈구 수, AST, AIT, 총 빌리루빈, 알부민, C-반응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말기암환자의 생존기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화기계 암환자에 있어서는 혈장 렙틴 농도가 생존기간 예측인자로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Purpose: Most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ie from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This study evaluated a prognostic role of plasma leptin level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69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aged above 20 years old from July 2009 to July 2010. For univariate analysis, an association between leptin level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or other variables was examin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ilcoxon’s rank-sum test or Kruskal-Wallis test, as appropriately. For multivariable analysis,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a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leptin levels as a prognostic factor and to determine factors which affect the risk of death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survival time was found. Univariat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es also showed a moderate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survival time. However, after adjusting variables for sex, white blood cell counts, total bilirubin, AST, ALT, albumin and CRP levels, plasma lept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time. Conclusion: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survival time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owever, this study suggested a prognostic value of plasma leptin levels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