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르주 캉귈렘(1904∼1995)의 생명 존재에 대한 이해 (Georges Canguilhem(1904-1995)’s Understanding of the Living Being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2.03
27P 미리보기
조르주 캉귈렘(1904∼1995)의 생명 존재에 대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96호 / 153 ~ 179페이지
    · 저자명 : 한희진

    초록

    근대 과학이 출현한 이후 프랑스 실증철학은 생명 존재(être vivant)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서 출발하여 인간과 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 전개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이 전통을 계승한 캉귈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은 불변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보면 생명 존재의 독특한 생리적 현상이 자연의 법칙에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사례로만 이해될 뿐이고, 생명 존재에서 자주 발견되는 변이나 편차와 같이 예외적인 현상들은 불순물, 실패, 타락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생명 존재라는 특수한 ‘존재의 층위(échelle des êtres)’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생명과학이 필요하고, 생명과학은 가변성과 개체성의 관점에서 생명 존재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캉귈렘은 생명 존재가 존재론적으로 독립적인 개념을 필요로 할 만큼 다른 존재와 질적으로 구별되는 존재이기 때문에, 생명 존재를 인정한다고 해도 세계에 대한 통일적 조망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존재를 추가적으로 상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런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표는 일반적으로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의 스승으로만 알려져 있는 캉귈렘이 철학사와 생명과학사에 근거하여 생명 존재의 존재론적 독립성을 논증하고, ‘개체성의 철학(philosophie de l’individualité)’을 수립해 가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캉귈렘이 어떻게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384∼322 av. J.-C.)와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의 기계론을 구분하고 비판했는지를 확인하고, 클로드 베르나르(Claude Bernard, 1813∼1878)의 물리화학적 환원론이 생명과학적 생기론(生氣論, vitalisme)을 완전히 배척할 수 없었던 이유도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캉귈렘도 피하지 못한 생기론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를 해명하고, 생기론으로부터 발전한 유기체론(organicisme)의 다양한 개념들도 검토할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캉귈렘이 보편자, 종, 류, 법칙을 추구하는 존재론이 아니라 개별자, 개체, 예외, 이상(anomalie), 소수자(minorité)를 존중하는 존재론, 즉 ‘개체주의적 존재론(ontologie individualiste)’을 수립했고, 생명 존재와 생명과학에 특권적 의미와 위상을 부여하는 ‘지역주의적 인식론(épistémologie régionaliste)’을 고수했음이 밝혀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캉귈렘이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목표가 개체(individu)의 참된 위상과 정당한 권리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이런 의미에서 캉귈렘의 생명과학철학과 의철학(philosophie des sciences de la vie et de la santé)이 생명과학사와 의학사에 근거한 일종의 ‘실존주의’라고 규정될 수도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emergence of modern science, the French positivist philosophy has maintained a tradition requiring philosophers to begin with scientific researches on living beings (être vivant) and then to look for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nheriting this tradition, Georges Canguilhem (1904∼1995) pointed out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invariability and universality, physiological functions peculiar to living beings can only acquire the mere status of cases insufficiently conform to the laws of nature. Furthermore, the exceptional cases frequently seen in living beings, such as variations and deviations, are simply considered as impurities, failures, and degradations. Thus, a specialized field, namely life sciences, which regards living beings as a unique ‘stratum of beings (échelle des êtres)’, is needed and these life scienc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variability and individuality of living beings. In the last analysis, Canguilhem underlined that we are not supposing superfluous beings by acknowledging the autonomous existence of living beings for the reason that the living beings are sufficiently noticeable and qualitatively distinguishable from other beings to call for an ontologically independent concept.
    Resting on the preceding theoretical setting, this paper primarily aims to analyze how Canguilhem, mainly known as academic adviser of Michel Foucault (1926∼1984), demonstrated the ontological independence of living beings and how he established ‘the philosophy of individuality (philosophie de l’individualité)’ based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life sciences. To this end, I examine not only Canguilhem’s distinction and criticism of Aristotelian and Cartesian mechanism, but also the reason why Claude Bernard (1813∼1878)’s physicochemical reductionism was unable to overcome completely biomedical vitalism. Subsequently, I try to uncover and resolve common misunderstandings of vitalism, in which Canguilhem himself was still trapped, and review diverse concepts of organicism developed from vitalism. Thus, the following facts are ascertained: Canguilhem suggested ‘an individualist ontology (ontologie individualiste)’ respecting the particulars, individuals, exceptions, abnormalities, and minorities, while he refused an ontology pursuing the universals, laws, species, and classes. He promoted ‘a regionalist epistemology (épistémologie régionaliste)’ admitting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a privileged status of living beings and life sciences.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the ultimate goal of Canguilhem’s philosophy of life and health sciences (philosophie des sciences de la vie et de la santé) was to restore the true status as well as the just right of individuals and, in this sense, it can be defined as a kind of existentialism founded on the history of life sciences and medic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