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증척도 (VAS) 의 타당도 검증과 통증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기준치: 여성요통환자대상 (Validity Evidences of VAS Pain Scale Utilizing Objective Physical Activity Measures in Middle-Aged Females with Low-Back Pain)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3.08
11P 미리보기
통증척도 (VAS) 의 타당도 검증과 통증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기준치: 여성요통환자대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5권 / 2호 / 29 ~ 39페이지
    · 저자명 : 김진원, 이미영

    초록

    이 연구는 여성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통증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통증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기준치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부적으로 1) 시각적 통증 사상 척도 (Visual Analogue Scale: VAS) 의 반응과정에 근거한 타당도를 검증, 2) 다른 주관적 통증 척도와의 수렴타당도를 검증, 3) 요통정도에 근거한 보행수 기준치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31명의 비요통환자군과 26명의 요통환자군으로서 총 57명 (연령 40.03±11.17) 이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대상자 요부의 주관적인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시각통증도구 (VAS score 0~10), 한국판 Oswestry 요통장애지수 (KODI score 0~45)가 이용되었고, Timed Up&Go test, 보수계 (Omron HJ720IT, Japan) 를 이용하여 객관적 운동기능과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통증척도를 이용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 수렴 타당도검증을 위해 Spearman's rho 를 계산하고, 통증척도에 근거한 보행수의 기준치를 검증하기 위해 ROC-Curve를 적용하여 Cut-off 점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면, VAS는 비요통환자군 vs. 요통환자군을 변별할 수 있고, KODI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VAS의 통증점수 5.2는 요통환자집단 (7335±3269)과 비요통환자집단 (7927±3178) 의 신체활동량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분류하였다 (ROC AUC= .854). 따라서 통증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VAS 5.0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이 기준치는 차후 교차타당화를 거쳐 일반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evidence based on response processes and convergent validity of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scales and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the pain scales to discriminate the walking steps for middle-aged females with lower back pain (MFLBP). A total of 57 females participated (control vs. pain groups: 31 vs. 26 individuals, age 35.87±7.24 vs. 45.00±12.90 yrs & BMI 22.68±3.63 vs. 24.06±3.48). As subjective measures of the pain rating, VAS (score 0~10; Huskisson, 1979) and Korean Oswestry back pain disability index (KODI score 0~45; Fairbank et al., 1980) were employed. As an objective measure, a mean of Time Up and Go test(TUG; Podsiadlo et al., 1991) was employed, which is a 3m round-trip walk from the sit position (second) performing three times. A pedometer(HJ720IT, Omron; Zhu & Lee, 2010) was worn for 7 consecutive days. To scrutinize the validity evidence based on response processes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pain scales, the independent t-test and spearman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ROC curve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cut-off of pain scores for setting the walking steps with SPSS 20 and α=.05. The result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s of major variables by groups(control vs. pain) were as follows: Total steps: 7926±3178 vs. 7334±3268; VAS 1.14±.80 vs. 3.45±1.82; KODI 3.06±2.27 vs. 9.45±5.54; TUG 7.40±.47 vs. 7.95±.86, respectively. Over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pain scales were: VAS vs. KODI(ρ)=.823, VAS vs. TUG =.563, KODI vs. TUG =.465,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daily walking steps were ρ=-.266(VAS), -.242(KODI), and -.160(TUG). The representative cut-off score of VAS was at 5.2 and explained 85% of walking steps (7879±3198 vs. 4706±1387). In conclusion, the pain rating scales (e.g., VAS, KODI, & TUG) showed relatively high validity coefficients, and those were able to provide acceptable cut-off score to distinguish the walking steps, but not TUG for MFLBP. This study desig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large sample si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