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자연, 혹은 평평함의 윤리: 팀랩의 설치작업 분석을 중심으로 (Digitalized Nature, or an Ethics of Flatness: Focused on the Installation Work of teamLab)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디지털 자연, 혹은 평평함의 윤리: 팀랩의 설치작업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50호 / 57 ~ 82페이지
    · 저자명 : 백승한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스펙터클한 삶의 형태와 그 존재론적 차원을 ‘평평함의 윤리’라고 명명하며, 이를 일본의 실험적 아트 콜렉티브 팀랩(2001-현재)의 작업 분석을 통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 세 가지의 하위 연구를 수반한다. 첫째는 팀랩 작업의 미술사적 맥락 조사이다. 팀랩은 이차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적 성장과 몰락, 그리고 특히 1990년대의 대지진과 지하철 가스 테러 등 자연적/사회적 재앙을 겪은 세대를 대표한다. 이들의 작업은 무라카미 다카시가 주창한 개념 ‘슈퍼플랫(superflat)’의 확장 버전으로, ‘평평함’이 촉발하는 비위계적이고 민주적인 세계를 시적인 방식으로 구현한다. 둘째는 팀랩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작품분석으로, 이는 ≪공간적 서예≫와 ≪늘 꽃이 만발하는 생명≫ 연작 분석, 그리고 <사람들이 모이는 바위 위의 물 입자들로 구성되는 우주>와 잠실 롯데월드에서 열린 대규모 전시 ≪팀랩월드≫를 포함한다. 팀랩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부분은 유기적이고 영속적인 공유의 상태가 아닌, ‘따로 또 같이’와 같은 불안정하고 한시적인 공동체의 감각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팀랩 작업에서 특징적인 평평함의 윤리를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을 도출한다. 이는 스피노자와 질 들뢰즈의 신체 개념, 경험 세계에 대한 신유물론적 접근을 시도하는 존 프로우와 육 후이의 논의, 나아가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 이론을 재해석하는 장 보드리야르와 장-뤽 낭시의 접근을 포함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pectacular forms of life in the digital environments and their ontological dimensions, by calling such conditions as ‘an ethics of flatness.’ What follows is an in-depth analysis of the Japanese experimental art collective known as teamLab (2001-current), which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is a survey of teamLab’s art historical contexts. teamLab represents a generation that has undergone a series of events which include the economic rise and downfall of the postwar Japan, and natural/soci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the subway gas attack in the 1990s. Second, by analyzing the select works of teamLab made in the last ten years, this paper claims that their work prompts an unstable sense of community. Third, this paper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with which to explore a world of flatness without being subjugated by its negative connotations. Bringing forth such a framework accompanies the following set of discourses: the concept of body raised by Baruch Spinoza and Gilles Deleuze, a new materialist approach to the world of experience by John Frow and Yuk Hui, and theories of the spectacle raised by Jean Baudrillard and Jean-Luc Nancy that read the Debordian idea against the gr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