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王郞返魂傳>의 역사적 수용 및 성격 (The historical acceptance and character of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9
25P 미리보기
&lt;王郞返魂傳&gt;의 역사적 수용 및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7권 / 3호 / 173 ~ 197페이지
    · 저자명 : 양혜승

    초록

    <왕랑반혼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논자의 입장에 따라 상이한 내용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왕랑반혼전>의 연원을 나말여초로 보고 근원설화를 검토하여 연관성을 추적했으며, 등장하는 인물과 내용 전개에 대한 고찰과 ‘저승사자 속이기’의 화소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서사 전개상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왕랑반혼전>의 서사적 미흡함이 기존의 무속적 근원설화에 불교적 윤색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고 보았다. 기존의 설화, 특히 <장자풀이> 중 저승사자 속이기 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했는데 저승사자들이 자신들이 받은 대접에 대한 보답을 스스로 결정한다는 점에서 저승보다 이승을 우위에 두는, 불교적 세계관이 자리잡기 전 민중적 사고방식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장자풀이>의 결말이 연명이라는 현실지향적인 방향으로 마무리되는데 반해 <왕랑반혼전>의 결말은 환생과 연명을 통한 극락왕생이라는 점에서 대중을 교화하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반대의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것은 고유 샤머니즘의 현실적이고 포용적인 성격에 의한 것으로 무불습합의 흔적이 보이며 극락왕생의 필연성을 강조하기 위해 불교적 윤색을 첨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설화는 나말여초에 이미 존재해 있었으며 불교적인 윤색을 통해 소설로 충분히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on <Wangrangbanhonjeon> have been developed with different content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riter. This is due to the incomplete content of <Wangrangbanhonjeon> and the unfinished composition in terms of form.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the origin of <Wangrangbanhonjeon> in the late Silla period and early Goryeo period. Then, the origin story was examined and the association was traced. Then, we examined the aspect of the narrative development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emerging characters and the contents of 'deceiving grim reaper'. <Maengambonpuri> of Cheju Island, <Hwangcheonhonshi> of Hamkyungdo, <Jangjapuri> of Jeolla province and the corresponding folk tales and fables ar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Wanganwanjeon>. Therefore, I saw a contradiction occurred in narrative gaps <Wangranbanhonje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a Buddhist tales. In addition, I discuss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Wangranbanhonjeon>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shamanism and Buddhism. We compare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existing narratives, especially those of <Jangjapuri>. In this article, we saw that grim reaper originated from a popular way of thinking that puts this world ahead of the other world in that it decides for itself the reward for the treatment received. Although <Jangjapuri> is a reality-oriented ending that prolongs life, the end of <Wangranbanhonjeon> shows the opposite aspect because it is aimed at rehabilitating the masses in that it is a paradigm through extension of life and reincarnation. This is due to the realistic and inclusive character of shamanism, which shows the traces of the combination of shamanism and Buddhism, and adds Buddhist features to emphasize the inevitability of Gekrakwangsaeng. Therefore, the existing folklore was already existed in Silla and Goryeo period,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Buddhist motif could have developed sufficiently as a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