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도아리랑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The Issues of Education about Jindo Arirang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12
18P 미리보기
진도아리랑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7호 / 29 ~ 46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현재 음악교육에서 진도아리랑은 남도민요의 대표악곡으로 남도민요의 특성을 교육하기 위한 소재로서 널리 다루어지고 있다. 진도아리랑은 7차 교육과정까지는 중학교 교과서 위주로 다루어졌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부터 초등학교의 가창곡으로도 다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음악 교과서에서 진도아리랑의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교육 방안을 정리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창영역에서 육자배기토리의 시김새는 ‘미라시도’, 또는 ‘미라도-시’의 음계로 제시되어야 한다. 떠는 음, 꺾는 음, 평으로 내는 음과 같은 시김새는 자율적인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 민요 가창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헤테로포니 현상이 수업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받는소리나 메기는소리의 선율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기악영역의 장단은 중모리 장단을 골격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진도아리랑은 3소박 4소박의 중중모리가 느려진 구조이므로 4장단 단위로 악구가 형성되며 12박 중 9번째 박에 강세가 붙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중모리 장단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중모리 장단은 판소리와 산조에 사용하는 장단으로 남도 음악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당연히 진도아리랑에 중모리를 붙여야 지역적 정체성과도 맞아 떨어진다. 또 육자배기토리는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와 가장 잘 어울린다. 2009 교육과정에서는 가야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국악기의 범주가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진도아리랑 단원에 가야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시김새를 자유롭게 빼고 넣는 활동을 시도할 수 있다.
    셋째, 창작 분야의 활동으로 가사 바꾸기 활동은 재미있는 가사를 참고로 제시해 주거나, 기존 가사의 일부를 바꾸는 활동으로 제시한다면 쉽게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율 바꾸기나 가락짓기 등의 활동 역시 기존의 가락 일부분을 바꾸도록 하여 난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속도나 장단을 바꾸는 활동도 가능하다. 진도아리랑을 느리게 불러 봄으로서 세마치를 빠르게 불러 3소박 4박의 중중모리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넷째, 감상 영역에서는 다양한 차원의 적용이 가능하다. 가장 직접적으로 전라도 민요의 세마치 장단형 악곡들을 통해 기존의 악곡을 활용한 새로운 악곡 만들기의 방법과 사례를 볼 수 있으며, 창의성을 자극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육자배기토리의 다양한 장르적 활용을 비교 감상하거나 진도의 많은 음악문화와 연계할 수도 있다.
    진도아리랑을 둘러싼 다차원적 통합 교육도 시도할 수 있다. 통합에는 교과간 통합, 영역별 통합, 악가무 종합 예술적 통합 등이 있을 수 있다. 교과간 통합에서는 국어, 체육(무용), 사회 등과의 연계 교육이 있을 수 있고, 영역별 통합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통합시키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영역별 통합은 더 나아가 악가무 종합 예술적 통합으로 심화될 수 있다. 이는 가창과 기악, 신체표현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in music education, Jindo arirang is handled as a representative song of Namdo folksongs in order to educate characteristics of Namdo folksongs. Jindo arirang was taught at middle school level unti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dealt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of Jindo arirang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nd propose measures for education.
    Firstly, in singing section, yukjabagitori and sigimsae should be presented in scales as ‘mi ra ti do’ or ‘mi ra do-ti’. Sigimsae such as trill, bending notes, middle-level sound should be left to autonomous selec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natural heterophony which occurs in folksong singing to take place naturally in class, various melodies with giving sound and receiving sound be presented.
    Secondly, rhythms for instrumental part should be taught with Jungmori rhythm as the frame. Jindo arirang is a slower version of 3 small beat and 4 beat Jungjungmori, and therefore, sections are formed as 4 rhythm unit with the accent on the 9th beat of 12 bea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Jungmori rhythm. Jungmori rhythm which is used for pansori and sanjo originates from Namdo music and naturally Jindo arirang must go together with Jungmori for its regional identity. Also, yukjabagitori goes best with stringed instruments such as gayaguem. In 2009 curriculum the ran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xtended so as to use gayague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me up with a way to utilize gayageum.
    Thirdly, as an activity of creativity section, lyric-changing activities can stimulate creativity easily through the presentation of interesting lyric and be presented as an activity to change the existing lyric. Also, activities such as melody-changing activities and rhythm-making activities should be made easier by having students change a part from the existing rhythms. Also, activities to change the speed and the rhythms are possible. By singing Jindo arirang slower, semachi can be divided into Jinyangjo of 6 beat and by singing faster, it can be made to Jungjungmori of 3 small beat and 4 beat. During the process, activities to insert and remove sigimsae can be tried.
    Fourthly, in terms of appreciation section, various dimensions are feasible. Most directly, through semachi-rhythmed songs of Jeallado folksongs, methods and cases of creating new songs by utilizing the existing ones can be examined and it can stimulate creativity. Also, various genre utilization of yukjabagitori can be compared, appreciated, and correlated to the many cultures of Jindo.
    Multi-dimensional integrated education about Jindo arirang can be tried. For integration. there can be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sectional integration, and singing-playing music-dancing artistic integration, etc. For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Korean, physical education(dancing), and social civics can be related. For sectional integration,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 creating music, and appreciating can be integrated without limit. Sectional integration can be intensified to singing-playing music-dancing artistic integration. This mean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physical express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