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담 보바리』와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뤼시」 -문학작품 속 예술치유의 한 예 (L'opéra Lucie de Lammermoor dans Madame Bovary -Un cas d'art-thérapie dans une oeuvre littérair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4.09
34P 미리보기
『마담 보바리』와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뤼시」 -문학작품 속 예술치유의 한 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2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용은

    초록

    플로베르의 소설 『마담 보바리』는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사회학적, 철학적인 탐구이며 무엇보다 인간의 신경질환을 탐색하는 의학소설이다. 소설의 2부 마지막 세 장은 연인 로돌프와의 도피 실패와 이로 기인한 엠마의 와병시기, 기독교에 귀의한 시기, 기분전환을 위한 루앙에서의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뤼시」의 관람시기로 이어진다. 2부 15장은 인터미션이 시작되기 전의 1막과 2막의 상세한 공연내용과 레옹과의 재회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엠마의 병과 관련하여 의학과 종교와 예술로 이어지는 치료 방책의 제시에 주목하였다. 의사들은 신경계통 병의 근본원인을 볼 수 없으므로 치료에 실패했으며, 기독교가 제공한 종교적 감수성이 미치는 영향은 엠마의 에고 중심적 기질이 되살아나면서 일시적인 효과밖에 주지 못했다. 제 3의 방도로 음악이 시도되었다. 플로베르는 이 소설을 구상하기 전에, 상상력을 자극하는 예술치료를 시도하는 작품을 구상한 적이 있다. 1844년 1월부터 심각한 신경발작을 경험한 플로베르는 1845년부터 1849년에 걸쳐 「회교승의 일곱 아들」의 시나리오 작업을 하며 치유를 목적으로 일련의 시도를 하였으며 또한 연극소설인 초판본 『성 앙투안느의 유혹』(1846-1849)과 시나리오 「나선 螺旋」(1852-1859)을 통해 환상, 환영, 광기로 이어지는 메카니즘 연구에 지속적으로 천착하였다.
    본 논문은 약제사와 신부가 벌이는 음악과 연극 등 공연예술의 유용성 논쟁에서 시작되는 오페라 에피소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답하고자 하였다. 소설의 이 시점에서 왜 오페라인가? 그리고 왜 이 오페라인가? 엠마가 보기를 포기한 3막의 광란과 죽음의 아리아 부분이 소설의 3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도니제티 오페라의 원작 월터 스콧의 소설을 검토한 결과, 스콧의 소설은 실화를 바탕으로 쓰인 두 가문 출신 젊은이들의 비극적인 사랑이야기의 플롯에 병적으로 예민한 기질과 광증에 관한 병리학적 탐구가 바탕에 있음을 확인했다. 도니제티의 오페라를 디딤대로 삼은 플로베르의 소설의 주인공 엠마는 감수성에 호소하는 극중 배우들의 노래와 연기에 몰입되면서 그들에게 동화되어간다. 음악은 호소, 매혹, 예고이다. 무대-거울의 입체적인 시각, 청각효과에 힘입어 그녀는 자신의 고통의 원천을 보고 이해하고 표현한다. 결혼으로 <더럽혀지고> 간통에 <환멸을 느끼기> 이전의 자신을 되찾고자하는 욕망은 위반하기의 욕망이다. 『마담 보바리』는 도발의 소설이 된다. 음악이 위반을 도발하고, 소설은 1857년 <공중도덕과 종교도덕의 모독>의 명목으로 법적 소송에 휘말린다.
    그녀는 우울증과 신경증에서 치유된 것인가? 서정의 시적 에너지로 자신의 본 모습을 되찾은 순간, 마음 깊은 곳에 눌러두었던 옛사랑 레옹이 그녀 앞에 나타났고, 욕망의 질주가 다시 시작된다. 그들이 듣기를 포기한 오페라의 크라이막스는 저주와 광란과 죽음에 관한 결말이었고, 오페라의 이 장면은 이어지는 소설의 3부를 불길하고 음울한 정조로 물들인다. 엠마의 임종장면에서 들려오는 <나네트>의 소박한 노래는 오페라에서 들려오던 불꽃놀이와 같이 화려한 음악에 화답하는, 자신의 삶의 환멸을 조롱하는 <소녀와 죽음, 음욕과 죽음, 생과 사>의 노래인 것이다.

    영어초록

    Madame Bovary est avant tout un roman médical qui s'applique à trouver les causes d'une névrose, autant qu'un roman psychologique, social ou métaphysique. Nous avons remarqué que les trois derniers chapitres de la IIe partie du roman sont consacrés à la thérapie d'Emma tombée gravement malade après avoir été abandonnée par son amant Rodolphe : d'abord la médecine, ensuite la religion et enfin l'art. Les deux premiers essais de guérison connaissent l'échec : en raison de l'ignorance des fonctions du système nerveux pour le premier et de la dominance de l'égotisme de la patiente face au renoncement religieux pour le second. Flaubert, pour la thérapie artistique, amène alors son héroïne au spectacle. Le romancier lui-mê̂me qui a connu des attaques de nerfs en 1844 a tenté la recherche de leur cause dans ses créations, à savoir Les Sept Fils du derviche(1845-1849), la première Tentation de saint Antoine(1846-1849) et La Spirale(1852-1859).
    Nous nous sommes demandé pour quelle raison l'épisode de l'opéra vient à ce moment-là, pourquoi un opéra, pourquoi celui-là et enfin dans quelle intention le romancier fait rencontrer Emma et Léon au spectacle et les entraî̂ne hors du théâ̂tre avant la fin. Pour tenter de répondre à ces questions, nous sommes allés retrouver le roman de Walter Scott The Bride of Lammermoor(1819) et écouter l'opéra de Gaetano Donizetti Lucia di Lammermoor (1835 pour la version italienne et 1839 pour la version française). Sous le schèma d'une histoire tragique d'amoureux issus de familles hostiles l'une à l'autre, se développe l'étude pathologique d'<une vraie sensitive>.
    Dans l'opéra, le drame de Lucie apparaî̂t comme le miroir de la vie sentimentale d'Emma et touche sa sensibilité. Grâ̂ce au processus d'envoû̂tement et d'identification, Emma voit progressivement l'origine de sa blessure et de sa souffrance, les comprend et les exprime en toute conscience : elle regrette la période immaculée <avant les souillures du mariage et la désillusion de l'adultère>. La musique s'associe à la transgression, ce qui provoquera un procès en 1857 pour <offense à la morale publique, offense à la morale religieuse>.
    Est-elle guérie en fait? Repartie à la course du Désir avec Léon reparu devant elle en plein théâ̂tre, elle prendra conscience d'elle-mê̂me, encore une fois, à son agonie, à l'écoute de Nanette, chanson paysanne, chantée par l'Aveugle, d'où le Rire de dérision pour sa vie illuso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