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여성 디아스포라와 영화 재현 양상 변화: <파이란>, <미씽: 사라진 여자>, <헤어질 결심>을 중심으로 (Immigrant Women’s Diaspora and Changes in Film Representation: Focusing on , , and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12
35P 미리보기
이주여성 디아스포라와 영화 재현 양상 변화: &lt;파이란&gt;, &lt;미씽: 사라진 여자&gt;, &lt;헤어질 결심&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98호 / 95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윤미

    초록

    본 논문은 이주의 시대, 이주여성의 디아스포라와 한국영화속 재현 양상의 변화를 이주여성이 주연급으로 등장하고, 유입 시기별 이주여성의 정착 특징을 대표할 수 있는 <파이란>(2001), <미씽: 사라진 여자>(2016), <헤어질 결심>(2022)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이주여성 유입 초기 영화 <파이란>(2001)의 이주여성은 ‘낯선 타자’로 거주국정주민들에게 경계의 대상이거나 물화된 존재이다. 그리하여 파이란은 거주국의하위주체로 존재하면서 여성의 주체 조건인 몸, 섹슈얼리티, 노동에서 자신의 권리를 확보하지 못한다.
    다문화시대에 진입한 이주여성 정착기의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2016)의이주여성은 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가족 형태의 울타리속에 존재했지만, ‘이름만’가족이지 여전히 물화된 존재로 인권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서 이방인에 대한타자성이 지속된다.
    최근 영화 <헤어질 결심>(2022)의 이주여성은 이주여성의 스테레오타입을 탈피하여 주체적이고 입체적인 캐릭터를 가진다. 물론 정주민 남성과의 사랑의 결실을 이루지 못함으로써 이주여성의 타자성 극복을 완성하지는 못했다. 하지만<헤어질 결심>(2022)의 이주여성은 하위주체로서 타자성이 지속되는 것을 거부하고 주체로서의 도약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이주여성 캐릭터의 진화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ra of migration, the diaspora of migrant women, and changes in representation in Korean films, focusing on <Failan> (2001), <MISSING: The Disappeared Woman> (2016), and <Decision to leave> (2022) which feature immigrant women as leading characters an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s settlement by period of inflow.
    Immigrant women in the movie <Failan> (2001) in the early stage of the influx of immigrant women are ‘strangers : the other’ and are objects of caution or materialized beings to residents of the country of residence. Thus, she exists as a subalter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and cannot secure its own rights in the body, sexuality, and labor, which are the subject conditions of women.
    The immigrant woman in <MISSING: The Disappeared Woman> (2016), a film about the settling period of immigrant women who entered the multicultural era, had a new family type of multicultural family but they are a “meaningless” family. She is still, as an object, are placed in the blind spot of human rights, so the otherness toward strangers continues.
    The immigrant woman in the recent movie <Decision to Leave> (2022) has an independent and three-dimensional character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tereotype of migrant women with strong otherness. However, she cannot complete the overcoming of the otherness of immigrant women by failing to achieve the fruit of love with a man of former inhabitants. However, immigrant woman in <Decision to Leave> (2022) can be said to be an evolution of immigrant female characters in that she rejected the continuation of otherness as a sub-subject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leaping as a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