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신란 피란 문인 시문을 통해 본 남한강 유역의 피세 공간 (River Basin in Namhan-gang as a Space of Avoiding the World through Literary Works of Literati who Fled from the Mooshin Revol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6
35P 미리보기
무신란 피란 문인 시문을 통해 본 남한강 유역의 피세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7권 / 2호 / 283 ~ 317페이지
    · 저자명 : 이새롬

    초록

    본 연구는 무신란(戊申亂)이 일어나자 남한강 유역으로 피란을 온 문인들의 기록과 문학 작품을 통해 피란처로서의 남한강 유역의 이미지를 고찰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가거지(可居地)와 피세지(避世地)를 구분했다. 남한강 유역중 여주ㆍ충주ㆍ원주는 은거지로 인식되었으며, 지세가 험난하고 외진 단양ㆍ제천 등은 피란처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무신란이 발발하자 노론계 문인들이 남한강 유역으로 피란했는데, 그 대표적인 문인으로 여주에서 은거하다 피란처를 찾아 단양으로 유람을 떠난 원경하와 충주에서 은거하다 제천으로 피란을 간 안중관, 제천으로 피란을 간 김신겸을 손꼽을 수 있다.
    세 문인은 자신의 처한 상황 및 은거처의 존재 유무, 목적 의식에 따라 남한강 유역에 머물렀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작품 속에서 형상화된 문학적 공간 인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은거처를 마련하지 못한 김신겸은 ‘피란’을‘은거’로 인식했다. 이와 달리 원경하와 안중관은 단양 및 제천을 언젠가는 떠나야 할 곳으로 여겼는데, 원경하는 유람으로 방문했기에 피란처를 찾기 위한 호기심 어린 태도를 보이지만 안중관은 피란민의 고통을 호소하며 제천을 벗어나고 싶은 공간으로 인식한 점이 특징이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records and literary works of the literati who came to harborage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when the Mooshin Revolt (戊申亂) occurred, this study examined the image of the Namhan-gang river basin as a harborage site.
    The literati in the Joseon era distinguished between sites of temporary residence and of avoiding the world.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Yeoju-Chungju-Wonju were recognized as a seclusion site, and Dangyang-Jecheon, and so on, with its rugged terrain and remote location, were recognized as a harborage site. With this perception, when the Mooshin Revolt (戊申亂) broke out, the Noron-gye (political sect) literati harbored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and secluded in Yeoju as the representative literati. Examples include Won Gyeong-ha, who went sightseeing to Dangyang in search of a harborage site, Ahn Jung-gwan, who went to harborage in Jecheon after seclusion in Chungju, and Kim Shin-gyeom, who went to harborage in Jecheon.
    Regarding the three literati,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were in, presence or absence of their own seclusion site, and sense of purpose, despite the commonality of staying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a difference exists in the spatial perception embodied in literature. Kim Shin-gyeom, who could not prepare a seclusion site, recognized “harborage” as “seclusion.” By contrast, Won Gyeongha and Ahn Jung-gwan viewed Dangyang and Jecheon as places they would have to leave someday. Furthermore, since Won Gyeong-ha visited for sightseeing, he displayed a curious attitude to find the harborage site, but Ahn Jung-gwan recognized Jecheon as a space from which he wanted to escape while complaining about the suffering of harborage refuge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