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만 바지락양식장의 저질조성 서식밀도 및 바지락성장의 특성에 관한 보고 (Report on the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parameters, density and biometr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0.12
7P 미리보기
경기만 바지락양식장의 저질조성 서식밀도 및 바지락성장의 특성에 관한 보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류학회
    · 수록지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26권 / 4호 / 267 ~ 273페이지
    · 저자명 : 박광재, 최용석, 허승, 강희웅, 한현섭, 오해종

    초록

    경기만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서식밀도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하여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조사하였다. 저질조성에서 외리와 종현은 니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였으며, 백미리는 역질니토로 분급이 불량하였고, 내리는니사질역으로 분급이 매우 불량하였다. 서식밀도는 저질조성과 상관없이 씨뿌림에 의하여 외리와 백미리에서 높았으며, 내리와 종현동에서 낮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저질조성에서 분급이 매우 불량한 내리와 분급은 양호하지만 먹이생물인 클로로필-a가 높았던 외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3.2-27.0℃ 범위로 나타났으며, 염분은 21.7-33.3 ‰, 용존산소는 5.6-12.7 mg/l, pH는 7.36-8.82였다. 부유물질은3.2-1,266.0 mg/l, 클로로필-a는 0.3-36.1 μg/l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역의 연간 바지락 비만도 및 성장은 해수중의 클로로필 농도와 유관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바지락의 먹이와 관련이 잇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어초록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we have investigated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factors and density of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habited at Oeri, Naeri, Jonghyeon and Bangmiri tidal flats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Sediment types of Oeri and Jonghyeon were characterized with well sorted muddy sand. In contrast, Bangmiri tidal flat was mainly composed of poorly sorted gravelly muddy silt and Naeri was characterized with very poorly sorted muddy-sandy gravel.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pH ranged 3.2 to 27.0℃, 21.7 to 33.3 ‰, 5.6 to 12.7 mg/l and 7.36 to 8.82, respectively. The suspended solid (SS) ranged from 3.2 to 1,266.0 mg/l and chlorophyll-a level in the water column ranged 0.3-36.1 μg/l, respectively. The density of clam in the study areas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harvesting activities rather than the types of substrate. Relatively higher density of clam was observed in Oeri and Bangmiri where the clam seeds were sowed by the villagers. Condition factor of clam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eri where the substrate sorting was better with higher level of chlorophyll a. It was believed that sediment types and the level of available food the two governing factors controlling the density and growth of clam in Gyeonggi B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