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문학이 데이터와 만날 때 : 재현-연결-표준으로서 인문학 데이터의 내포를 중심으로 (On the Encounter Between Humanities and Digital Data : With a focus on the Connotation of Humanities Data as Representation-Connection-Standar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8
35P 미리보기
인문학이 데이터와 만날 때 : 재현-연결-표준으로서 인문학 데이터의 내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학 / 65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유인태

    초록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을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담론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것은, 2014년을 전후한 무렵이다. 그 즈음 한국연구재단에 의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지원 사업이 기획・창안되었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 성격의 인문학 연구가 조금씩 시도되기 시작함으로써 이후 유관 내용을 담은 디지털 형식의 결과물과 그 논리를 정리한 학술논문 발표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당시로부터 대략 10여년이 흐른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학계에서 여전히 낯설고 새로운 학술영역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향한 기대와 의심은 여러 형태로 표출・전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2015년 창설)가 세계디지털인문학기구연합(The Alliance of Digital Humanities Organizations, ADHO)의 일원으로 정식 가입하게 됨에 따라, 향후 디지털 인문학을 향한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과 경계는 기존과는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인문학을 향한 초기의 기대와 관심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관해 현 시점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사실상 극적인(dramatic)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는 말이 적합할 것이다. 최근에는 ‘ChatGPT’로 대변되는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의 부상으로 인한 AI에 대한 우려가,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인문학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부쩍 증가시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인문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그러한 문제의식은 얕은 관심에 머무를 뿐 구체적 연구・교육으로 발전하기에는 여전히 유관 인프라 및 리소스가 부족한 상황이다. 예컨대 디지털 인문학을 본격적으로 지향하는 연구자도 여전히 극소수이며, 디지털 인문학을 표방하는 것처럼 간판을 내건 일부 연구・교육기관이 최근 국내에 많이 설립되었지만 아쉽게도 유효하다고 할 만한 활동이나 성과를 아직까지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담론이 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지 10여년이 흘렀다는 물리적 시간의 무게감과 별개로, 연구 인력과 환경 등 유관 리소스의 모든 측면에서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생태는 여전히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해야 한다.
    이 글은 그러한 맥락에서 국내의 디지털 인문학 환경이 현재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에 관해 진단하고,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존 인문학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의 역설적 활용으로서 ‘인문학 데이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을 인문학 연구자들이 직접 전개하는 것이야말로,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인문학의 본질적 화두에 해당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인문학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프로세스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이공계 및 사회과학 방면에서 통용되는 디지털 기술을 인문학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무게중심을 두기 보다는, 오히려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매개로 인문학 데이터를 어떻게 편찬・활용・확장할 것인가의 질문을 장기적 화두로 삼아야 한다. 데이터 또한 구체적 기술을 통해 다루어지는 것이기에 활용 기술의 외연에 관한 고민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인문학에서 데이터를 다루어야 하는 이유’에 기초해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진행할 경우 디지털 기술을 인문학 연구에 접목하는 표면적 양태와는 다른 차원에서 디지털 인문학의 학술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의 본론에서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한 ‘재현: 데이터 개방과 연구 재현성 문제’, ‘연결: 데이터 공유와 연구 확장성 문제’, ‘표준: 데이터 보존과 연구 지속성 문제’는, 인문학 연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의 문제의식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구체적 단서이자, 인문학 연구・교육에 특정한 디지털 기술을 접목・활용하기 위한 과정에서 반드시 논의해야 할 기초적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was around 2014 that the discourse on digital humanities began to develop in Korea. Around that time,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initiated a digital humanities research support project, marking the inception of experimental humanities research using digital technology. Since then, digital formats of related results have been introduced, and academic papers summarizing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published. From that time to the present, roughly 10 years later, expectations and doubts about digital humanities as a new and unfamiliar field of research in Korean academia have been expressed and developed in various forms. Recently,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founded in 2015, has officially become a member of The Alliance of Digital Humanities Organizations (ADHO), as a member,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ttention and boundaries of digital humanities will flow in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future.
    When we think about how the initial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digital humanities have evolved, it is fair to say that it has not really been dramatic. In recent years, concerns about AI due to the rise of Large Language Model(LLM) represented by ‘ChatGPT’ have spurred interest in humanities research that applies digital technology. However, among researchers in the humanities, such issues are only a shallow interest, and related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are still lacking to develop into concrete research and education. There are still very few earnest researchers who pursue digital humanities in earnest, and some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represent digital humanities have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Korea, but unfortunately, they have not yet shown effective activities or results. Apart from the fact that a decade has passed since the discourse on digital humanities began to be addressed in earnest in academia, it must be said that the ecology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s still at a rudimentary stage in terms of all relevant resources, including research personnel and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diagnosing the current state of the digital humanities environment in Korea and discu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ield. As a paradoxical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inherit the existing humanities and at the same time to break away from it, it is for humanities researchers to develop the problem of ‘how to process humanities data?’ themselves, which is the fundamental point of digital humanities that must be focused on at this time. In order to realize a process centered on humanities researchers, the focus should not be on the leveraging digital technologies, but on the compilation and sharing of data that arises from them. While data is subject to the specific technologies employed, it is not entirely impervious to concerns about the side effects of these technologies. However, by framing the discussion in terms of “why the humanities should engage with data,” we can uncover scholarly implications that transcend the technological perspective.
    In the main body of this paper, divided into three sections, ‘Representation: Data Openness and Reproducibility’, ‘Connection: Data Sharing and Extensibility’, ‘Standards: Data Preservation and Sustainability’ can be considered as concrete clues to further develop the issue of how to handle data in humanities research, and as basic discourses that must be discussed in order to utilize specific digital technologies to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