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극지 심상의 변천 - 미지의 땅에서 인류세 프런티어로 - (Changing Geographical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From Terra Incognita to the Frontiers of the Anthropocen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12
21P 미리보기
극지 심상의 변천 - 미지의 땅에서 인류세 프런티어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6권 / 6호 / 585 ~ 605페이지
    · 저자명 : 김준수, 최명애, 박범순

    초록

    극지는 한국 인문지리학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은 공간이다. 이 논문은 문화지리학의 심상 연구와 인류세 연구의 행성성 논의를 결합해 남북극 극지에 대한 지리적 심상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본다. 논문은 먼저 서구와 한국의 극지 영역화 방식의 변화를 각각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생산·동원되는 극지 심상을 논의한다. 이어 기후 위기로 대표되는 최근의 인류세 맥락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극지 심상을 살펴보고, 생태적·정치적 의미를 탐색한다. 지난 150년 동안 극지는 ‘미지의 땅’에서 과학 기술을 통한 ‘정복 대상’으로, 이어 미소 냉전의 ‘전략적 대치지역’에서 ‘인류 공동의 땅’으로 이해되고 상상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자원의 보고’로 극지에 관한 관심이 촉발됐으며, ‘선진국 진입의 증거’이자 한국과 지질학적 유사성을 지닌 ‘또 하나의 한국’으로 상상되어 왔다. 이러한 극지 심상은 식민주의적 팽창, 냉전적 대결, 발전주의 산업화와 같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기후 위기 논의 속에서 극지가 ‘인류세 프런티어’로 새롭게 사유 되면서, 초국가적 과학 조사와 국제 환경 협력이라는 새로운 극지 이용 방식을 불러왔다. 이 논문은 주요 극지 심상을 유형화함으로써 극지에 대한 지리적 지식을 생산하고, 행성적 스케일과 행위성을 강조하는 인류세의 행성성 논의를 심상지리 분석에 결합해 심상지리 연구 발전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The Arctic and Antarctic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Korean scholarship of human geography. By combining the concept of ‘imagined geographies’ with recent discussions of the Anthropocene,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ing geographical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it identifies and discusses four prominent polar imaginations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nation states have territorialized the polar regions through various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interventions over the past 150 years. These imaginations include viewing the polar regions as: ‘terra incognita’ ‘polar conquest’ ‘Cold War frontier’, and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Second, it examines Korean-specific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including ‘the treasury of natural resources’ ‘entry to an advanced country’ and ‘another Korea in Antarctica’. Third, the paper examines an emerging polar imagination, which considers the polar regions as ‘the frontiers of the Anthropocene’, where the planetary climate crisis is experienced and can be monitored. This particular imagination fosters increased scientific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enhance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polar imaginations are socio-material achievement shaped not just by the changing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terventions - such as colonial expansion, Cold War politics, and the state-led developmentalism - but by the materiality of the planet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