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 비교연구 방법론 고찰__딴뜨라 문헌의 불이(不二)와 공성(空性)에 대한 평행 구문 분석을 통하여__ (An Approach to Comparative Textual Studies of Parallel Passages on Emptiness and Non-dual Doctrine in Tantric Traditio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8
30P 미리보기
텍스트 비교연구 방법론 고찰__딴뜨라 문헌의 불이(不二)와 공성(空性)에 대한 평행 구문 분석을 통하여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8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방정란

    초록

    본고는 인도 딴뜨라 전통들의 상호 관계와 발전사를 비교 연구하는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대표적 딴뜨라 전통인 밀교와 샤이바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추적하기 위해 어떻게 문헌 전거를 다룰 수 있는지 예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금까지 딴뜨라 전통들 사이의 유사성을 설명하는 데에 어떤 가설과 주장들이 있었는지 간략히 소개하고, 그 논의를 문헌학적 방법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또한 이를 통해 종교 간 비교 연구에서 문헌적 근거들을 어떻게 분류하여 접근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후기 밀교와 불이원론 샤이바의 문헌에서 공유되는 유사 혹은 평행 구문 속에서 중관의 ‘공성’개념이 샤이바에 의해서는 어떻게 채택, 활용되었는지, ‘불이’라는 궁극적 상태가 어떻게 유사하게 묘사되는지, 그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한다. 관련 게송들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저자성을 떠나 있는 딴뜨라 경전에서 발견되는 평행 게송의 예를 먼저 검토하고, 딴뜨릭 주석가들이 타 전통의 구절을 인용 혹은 개정하는 문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공유된 텍스트들의 성격이 어느 한쪽에 선행하거나 기원한 것으로서 취급하기 어려운 경우를 만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사상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유사 게송이 다양한 인도 문헌 전반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 출처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특정한 텍스트 안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이며 밀접한 상호 연관을 추적할 수 있는, 즉, 선후관계의 파악이 가능한 문헌 비교연구의 예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특징적인 구절들이 지닌 이형의 읽기(variant readings)가 사상적 변용과 융합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는 것을 살펴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sits an approach for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exts in Indian Tantric tradition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non-dual Śaiva and Vajrayāna texts. To explore how texts from these traditions interact and reference each other, I provide examples of passages that share similar phrases but discuss concepts of non-duality and śūnyatā separately.
    To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rguments concerning the similarities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Tantric traditions, this article summarizes previous noteworthy studies. Building upon these foundations, the primary focus of this article is to exemplify that certain shared passages between Śaiva and Vajrayāna can be effectively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wo distinct criteria.
    The first criterion involves categorizing texts based on their authorship. Given that passages from Tantras and scriptures are considered to be revealed rather than authored, they often lack specific attributions. In essence, the intentions of compilers and redactors remain undisclosed, including the sources they drew upon. In contrast, in cases where an author quotes or reworks passages from other traditions, their intentions become discernible through textual reformatting.
    The second criterion pertains to parallel or similar texts, distinguishing between those with traceable and untraceable origins. Specifically, this article examines one category that potentially indicates a pre-existing relationship among shared texts. The other category encompasses passages reflecting widespread notions within Indian religious thought, which often resist attempts to trace their original sources or references.
    In delving into these distinct categories of shared passages on non-dual and emptiness within the Śaiva and Vajrayāna tradition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ongoing discourse on the intricate connections and variances among Tantric practices. By examining the multifaceted dimensions of authorship, intention, and source origins, this study illuminates the intricate tapestry of interwoven ideas within these traditions. Ultimately, this research offers fresh insights into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extual elements, shedding light on the evolving landscape of Tantric thought and its profound influence on Indian religiou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