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의 북한 전문가 활용 방식의 차이 탐색 : 인용문에 대한 KPF-BERT 기반 딥러닝 분석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the Use of North Korean Experts b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 Focusing on KPF-BERT-based Deep-Learning Analysis of Expert Quot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2
41P 미리보기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의 북한 전문가 활용 방식의 차이 탐색 : 인용문에 대한 KPF-BERT 기반 딥러닝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6권 / 6호 / 154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종혁

    초록

    본 연구는 언론이 정치성향에 따라 북한 전문가 인용 보도에서 편향성을 나타내는 실태를 정파적 지표화(partisan indexing) 현상과 딥러닝 모형의 적용을 통해 살펴보았다. 언론의 지표화 가설(press indexing hypothesis)에 따르면, 언론은 공적 정보원의 영향을 받아 보도 범위를 설정한다. 반면, 보수와 진보 언론이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맞춰 정보원과 인용 내용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현상은 정파적 지표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북한 보도에서 이런 현상을 탐색하고자 북한 관련 메시지를 보수와 진보 성향으로 분류하는 딥러닝 모형을 KPF-BERT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이어서 모형을 활용해 빅카인즈에서 제공하는 북한 전문가 80인의 인용문 42,375건(2011년~2021년)에 대해 정치성향 지수를 측정했다. 분석 결과, 북한 전문가들은 보수 성향에서 진보 성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했으며, 극단적 정치성향에서는 진보 전문가보다 보수 전문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 분포에서는 보수 언론사 3곳(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이 분석 대상 52곳 가운데 보수 성향 순서로 2, 4, 5위를 기록했다. 한편, 진보 언론사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중도에 가까운 위치를 나타냈고, 내일신문만 뚜렷하게 진보 성향을 보였다. 핵심 분석 결과는 보수와 진보 언론이 자신의 성향과 유사한 전문가를 더 자주 인용하고, 동일 전문가에 대해 자신의 성향과 유사한 내용을 더 많이 선택해 보도했다는 점이다. 북한 보도에서 ‘정파적 지표화(partisan indexing)’ 현상이 유의미하게 검증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Korean media exhibits bias in the news coverage quoting North Korean experts. According to the press indexing hypothesis, the news media are influenced by public sources to set coverage limits. On the other hand, the partisan indexing phenomenon refers to the case in whic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selectively use sources of information and quote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orientation. To explore this phenomenon in the news coverage of North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deep-learning model that classifies news editorials about North Korea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ssages based on the KPF-BERT model. This model was constructed by learning news articles accumulated for 20 years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s Big-Kinds archive system, and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natural language processes compared to other Korean BERT models. The KPF-BERT-based deep-learning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finally recorded an accuracy of 93.77%. Next, this model, measured the political orientation index for 42,375 quotes (from 2011 to 2021) of 80 North Korean experts provided by BIG-KINDS. As a result, North Korean experts were widely dispersed from conservative to progressive positions, and some conservative experts were found to be in more extreme positions than progressive ones. This implies that extreme conservative opinions are allowed in the Korean media, but extreme progressive opinions are hardly reflected. In terms of the media distribution, three conservative media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ranked 2nd, 4th, and 5th in the order of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mong the 52 media. On the other hand, two progressive media such as Hankyoreh and Kyunghyang Shinmun were placed at a near-central position, and only the Naeil Shinmun clearly showed progressive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the intensity of political ori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in the media analysis. A key point of this analysis is that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tend to selectively quote experts similar to their political orientation and selectively report content similar to their orientation in the same expert. The phenomenon of partisan indexing was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news on North Korea. It is worrying that the political bias in Korean media is reflected in experts’ quotes beyond the news staff's writings. Methodologically, the application of the KPF-BERT-based deep-learning model is a suitable method to analyze tons of news data accumulated every day. Hopefully, this method can be widely and actively used in future journalism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