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딥러닝 모델 기반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을 이용한 벼 도복 추정 (Estimation of Rice Lodging Using Semantic Segmentation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09
7P 미리보기
딥러닝 모델 기반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을 이용한 벼 도복 추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22권 / 9호 / 28 ~ 34페이지
    · 저자명 : 김병준, 박근호, 안형근, 김기연, 정성환

    초록

    벼 도복은 매년 태풍 및 장마로 인해 벼 생산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원인이며, 조기 발견을 통해 벼 수확량 및 수발아와 관련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핸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벼 도복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ResNetV2 101백본 네트워크 기반 DeepLabV3+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모델로, 도복(lodging), 일반 벼(non-lodging), 그리고 배경(background) 영역에 대해 추정한다. 제안한 모델의 학습 및 평가를 위해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일대에서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벼 도복 관련된 816장 영상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748개의 학습 데이터, 40개의 검증 데이터, 28개의 평가 데이터로 나눈 후, 추정 성능 향상을 위해 전이학습, Focal Loss 손실 함수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평가 데이터 28장에 대해 성능을 평가한 결과, Focal Loss 손실 함수를 적용한 DeepLabV3+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이 93.16%의 픽셀 정확도와 87.75%의 mIoU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추정된 결과를 통해 도복과 일반벼의 분포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도복의 확산 경향과 피해, 형태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Rice lodging is an annual occurrence that causes enormous damage to rice production by typhoons and rainy sea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damage to rice yield and pre-harvest sprouting through early detection. This paper proposes an estimation method for rice lodging based on RGB images captured by unmanned aviation vehicles.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the DeepLabV3+ semantic segmentation model based on ResNetV2 101 backbone network and estimates the area of lodging, non-lodging, and background. To train and evaluate the proposed model, we captured 816 images related to rice lodging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Gyeongsang-do, Jeolla-do, and Chungcheong-do. The collected dataset was divided into 748 training data, 40 validation data, and 28 evaluation data, which were then used in various methods such as transfer learning and focal loss function for the improved estimation performance.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using 28 evaluation data shows that the DeepLab V3+ semantic segmentation model, to which the focal loss function was applied, yields the best results with 93.16% pixel accuracy and 87.75% mIoU. Furthermore, the estimation result can be used to find the distribution of lodging and non-lodging and analyze the trend of spreading lodging, damage, and sh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