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경적 상담설교를 위한 통전적 설교신학의 이해 : 포스딕(Harry E. Fosdick)과 바르트(Karl Barth)의 설교신학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olistic Preaching Theology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 Comparing Harry E. Fosdick with Karl Barth’s Preaching Theolog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9
26P 미리보기
성경적 상담설교를 위한 통전적 설교신학의 이해 : 포스딕(Harry E. Fosdick)과 바르트(Karl Barth)의 설교신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6호 / 85 ~ 110페이지
    · 저자명 : 조성현

    초록

    코로라 팬데믹을 거치면서 한국교회 안에 대단히 각광받고 있는 설교의 장르가 있다. 바로 상담설교(counseling preaching) 이다. 상담설교란 깊은 상처를 가진 현대인들을 영적으로, 감정적으로 치유하여 하나님 앞에 나오게 하는 설교의 형태이다. 그러나 심리적인 면이 강조된 상담설교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담설교는 심리학적인 접근이 성경의 권위보다 앞서므로 비성경적인 설교, 적용위주의 도덕적 설교, 설교의 편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청중의 삶의 상황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성경적 기반을 든든히 지켜서 본문에 대한 깊이 있는 주석과 해석이 병행되는 ‘성경적인 상담설교’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해리 에머슨 포스딕(Harry E. Fosdick)의 ‘상담설교’를 연구했다. 그는 청중의 중요성을 강조한 ‘청중의 해석자’였다. 그리고 청중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설교가 청중의 삶의 정황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삶의 상황설교’(life-situation preaching)를 주창했다. 그러나 청중과 상황을 매우 강조하다보니 인본주의적으로 흐르고, 성경저자의 의도를 상황과 상담의 이슈에 꿰어 맞출 가능성이 있는 비성경적인 설교가 될 위험성이 농후했다. 이에 본 연구는 둘째, 포스딕의 설교신학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학의 주요 임무를 설교로 자리매김하고, ‘성경본문의 해석자’로 알려진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설교신학을 연구했다. 그는 그 당시 자유주의 설교신학에 반대하여 “설교란 하나님 자신이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본문 중심적 설교’와 ‘성경적 설교’를 주창했다. 그러나 바르트는 본문에 대한 집요함과 철저함 때문에 서론부터 결론까지 성경본문만 주석하는 ‘주석설교’만을 고집했다. 즉 현대 설교 커뮤니케이션을 무시한 ‘설교학적 근본주의자’였다. 셋째, 본 연구의 대안으로 ‘청중의 지평’을 강조한 포스딕과 ‘본문의 지평’을 주창한 바르트의 설교신학이 균형감각을 갖는,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상담설교신학’이 현시대 상담설교의 방향성이라고 본다. 포스딕의 장점인 청중의 상황분석과 바르트의 강점인 성경본문에 대한 주석과 석의를 통합한 ‘본문 접맥식 설교’(Textbezogene Themapredigt)를 성경적인 상담설교의 모델로 제시한다. 상담설교가 청중의 삶의 상황에서 출발하여, 성경본문을 깊이 주석하고 해석해서, 구체적인 삶의 실천과 방법까지 전한다면 건강한 상담설교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황’과 ‘본문’이 함께 깊이 동행하면서 균형감각을 가지고,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상담설교로 청중에게 선포한다면, 위기의 한국교회 강단은 더욱 건강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very popular, appealing,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preachings are predominant in Korean churches. However, this preaching exposes a number of serious problems. Counseling preaching starts with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situation and life of the audience. This counseling preaching is at risk of degenerating into non-Biblical preaching because the circumstances of life precede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at includes in-depth exege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by firmly maintaining the Biblical foundation without ignoring the life circumstances of the audience.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counseling preaching of Harry Emerson Fosdick, who is called the 'interpreter of the audience' and the advocate of 'life-situation preaching'. Next, this study explores Karl Barth's 'Biblical preaching', which not only understands preaching as the Word of God but also as the 'interpreter of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rmonize Fosdick's preaching and Barth's preaching as a whole. This study asserts that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which has a sense of balance between Fosdick and Barth's theology of preaching, can be an alternative to counseling preaching these days. In particular, ‘Textual Connection Preaching’(Textbezogene Themapredigt), which integrates Fosdick's strength, situation analysis, and Barth's strength, exegesis on the text of the Bible, is presented as a model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Korean church preachers to proclaim the Word of God to the audience through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s with a sense of balance while deeply accompanying 'context' and 'Text'. Through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is study insists that the Korean church pulpit living in the era of crisis can be renewed more health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