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던 윤리와 주체, <모비딕>과 문학의 윤리비평 (Postmodern Ethics and Subject, Moby-Dick and Literary Criticism)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8
35P 미리보기
포스트모던 윤리와 주체, &lt;모비딕&gt;과 문학의 윤리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8호 / 135 ~ 169페이지
    · 저자명 : 손아영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기조 안에서 주체성과 타자성의 관계들을 심구하면서 이를 윤리성으로 발전시킨 연구들에 집중하며, 이러한 포스트모던 윤리를 문학비평과 접목할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를 위해 자끄 데리다, 자끄 라캉 그리고 에마뉴엘 레비나스의 이론을 살핀다. 예술로서의 문학은 그 자체로 주제화를 방해하는 힘을 지니며, 이로 인해 주체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으면서도 압도적인 감흥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의 문학 텍스트는 인식의 작동을 지속적으로 중단시키고 보류시킨다. 이것은 경험적 주체의 총체성 내부에서 반영될 수 없기 때문에 비-경험적 경험이라 할 만한데, 이 비-경험적 경험은 또한 주체가 절대적 타자성을 감지하고 대면하는 찰나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이에 문학 텍스트가 주체에게 타자성을 대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이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목하는 윤리적 주체성에 대한 논의와 연결됨을 논증하고자 한다. 포스트모던 문학비평의 예시로 질 들뢰즈가 허먼 멜빌의 대작<모비딕>을 두고 그의 중심 이론중 하나인 되기(becoming)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라 언급한 것을 주목하며, 에이해브 선장과 모비딕 사이의 식별불가능성(discernibiliy)에 집중하면서 이것이 텍스트가 지닌 주제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힘으로 고려한다. 포스트모던 윤리의 견해에서, 이것은 인지적 주체로서의 독자가 무의미이자 총체의 외부인 절대적 타자성을 감지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focuses on how the ethical studies in Postmodernism discover the new elements of the subjectivity in terms of its relation with the alterity and tries to further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junction between Postmodern ethics and literary criticism. To develop the discussion, it examines the works of Jacques Derrida, Jacques Lacan and Emmanuel Levinas and deepens the discussion to sublime subjectivity manifested by works of art. Literary texts as art, constantly interrupt thematizing. This failed thematizing captures the subject in 'not being able to understand' status. This is a moment of non-empirical experience for the subject and also the encounter of wholly other. Text can be the fundamental trigger for the subject to recognize what is absolutely other than himself/herself. The thesis provides exemplification of literary reading on Moby-Dick. Gilles Deleuze insists Moby-Dick is one of the best examples that proves his theory of 'becoming'. This thesis tries to demonstrate how Moby-Dick includes the non-thematizing force. The reader as subject, instantly enters into the infinity of the alterity. In Postmoderism ethics, this moment can be understood as completely positive originality of the human being toward the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