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醜의 美學’의 이론적 성찰― 프로이트·볼프강 카이저·T. W. 아도르노·움베르토 에코·엘렌 디사나야케의 이론을 중심으로 (Theoretical Reflections on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the 20th Century to Extend Research Methodology in Modern Poetry ㅡ Focusing on Theories of Freud, Wolfgang Kayser, T. W. Adorno, Umberto Eco,)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8.06
49P 미리보기
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醜의 美學’의 이론적 성찰― 프로이트·볼프강 카이저·T. W. 아도르노·움베르토 에코·엘렌 디사나야케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6호 / 5 ~ 53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추(醜)는 다만 하나의 형상이나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와 감각, 인식,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경험의 장(場)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시에 ‘추’의 경향성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소위 ‘해체시’로 명명되었던 일군의 시편들로부터이며 그것이 본격화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현대시의 추세를 연구하면서 ‘추의 미학’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와 그것의 방법론적 확장을 위한 이론의 소개(정리)와 검토가 선결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세기에 쟁점이 되었던 ‘추의 미학’에 초점을 맞추어 ① 프로이트의 에세이 「두려운 낯설음」(Das Unheimliche, 1919) ② 볼프강 카이저의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1957), ③ T. W. 아도르노의 「추 ․ 미 ․ 기술의 카테고리」(1970), ④ 움베르토 에코의 『추의 역사』(2007), ⑤ 엘렌 디사나야케의 『예술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1990)와 『미학적 인간』(1992) 등의 논의를 소개 및 검토함으로써 문학 연구방법론의 확장을 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이트의 근원적 공포의 감정, 볼프강 카이저의 악마적인 심연과의 투쟁, T. W. 아도르노의 기만적 현실의 추를 추로써 탄핵하고자 하는 저항적 사유, 움베르토 에코의 “냉엄하고 슬프게도 악한” 어떤 것을 상기시키는 추의 미학의 힘, 엘렌 디사야케의 미학이 강조한 자연선택적 가치 등은 현재 추의 예술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우리 시의 현상을 심리적, 모순 상황적, 사회․역사적, 생명학적 차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보다 입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사유의 기반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의미부여와 가치론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는 우리 시에 수용된 추의 미학이 단순히 독특한 개성적 기법이라는 인식을 넘어서 그 유효성을 진지하게 물어야 할 것이며 그로부터 가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근거를 마련할 단계라 생각한다. 이는 2000년대 이후에 더욱 범람하고 있는 추의 미학의 실체를 해명하기 위한 미래의 과제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ugliness is said to be not a form or event but a very important field of experience influencing directly our emotions, senses, perceptions and actions. The tendency to ‘ugliness’ in Korean poetry got into its stride from the middle of 1990s after its beginning to rise with a group of poems by the name of a so-called “destructive poetry” in the 1980s. To study of this tendency in Korean modern poetry needs urgently the prior settlements of understanding epistemically the ‘aesthetics of ugliness’ and also of instruct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ories for its methodological extension. With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ugliness’ as a disputed point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tend the research methodology in literature by instructing and examining discussions as Freud's essay Das Unheimliche(1919), Wolfgang Kayser's Das Groteske Seine Gestaltung in Malerei und Dichtung(1957), T. W. Adorno's Zu den Kategorien des Häßlichen, des Schönen und der Technik(1970), Umberto Eco's Storia della bruttezza(2007), and Ellen Dissanayake's What is Art For?(1988) and Homo Aestheticus(1995). In their presentations by these theories, Freud's the rooted emotion of fear, Kayser's the struggle against the devilish abyss, Adorno's the resistive thought to accuse the false ugliness of reality by the ugliness, Eco's the power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voking a “coldly and sadly evil” thing, and Dissanayake's the natural selective value with emphasis of her aesthetics are estimated to produce a ground for thinking the phenomena of our poetry in present acceleration of the diverse artisticaliztions of ugliness, more cubically and multifariously in their psychological, contradictive-contextual, socio -historical and bio-scientific dimensions, and simultaneously to provide a momentum for sounding a basis of judging the meaning-making (Sinngebung) and axiology about them. An effectivity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acceptedly in Korean poetry needs to be seriously questioned beyond cognizing that aesthetics merely as a distinctive and individual skill, and now this question have to provide each basis of valuable and valueless things. These are also the future tasks to clarify the substance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flood more after the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