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의 구속제도와 영장항고사건의 판례 분석과구속기준심의위원회의 신설, 영장항고제도의 도입 등 (Empirical and comparative law analysis of foreign warrant appeal systems and case law, and proposal of amendments to Korea’s Criminal Procedure Law and Arrest Standard Review Boar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12
29P 미리보기
외국의 구속제도와 영장항고사건의 판례 분석과구속기준심의위원회의 신설, 영장항고제도의 도입 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원광법학 / 38권 / 4호 / 73 ~ 101페이지
    · 저자명 : 송광섭

    초록

    구속영장의 신청과 청구, 영장의 기각과 발부 등에 있어서 경팔, 검찰, 법원 등 이해 당사자들의 시각차는 아주 다양하다. 이것은 구속영장 신청과 관련하여 경찰의 신청에 따른 검찰의 영장신청의 보완수사요구와 반려 및 청구, 검찰의 영장청구에 따른 법원의 기각과 발부 등에서 나타나는 수사기관간의 내부 갈등, 검찰과 법원간의 갈등은 구속영장신청의 기준, 구속영장청구의 기준, 영장발부의 기준 등이 모호하고 시각차가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당연한 귀결이다.
    본 연구는 외국의 구속제도와 영장항고 사건의 구체적 판례, 우리나라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 등을 주로 살펴본 후 구속기준심의위원회의 신설,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법원 산하 독립위원회인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 등에 대하여 살펴 보고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처럼 구속영장신청과 구속영장청구 및 구속영장 발부와 기각에 있어서 일정한 구속기준을 만들면 구속영장과 관련한 여러 불필요한 논란을 방지하고 인권보장의 토대를 만들 수 있는 통합된 지점을 찾을 수 있는 해법이 있을 수 있고,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인신구속제도와 영장항고제도, 영장항고사건과 관련된 판례를 검토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그 비교법적 시사점을 찾아 인신구속제도의 개선방향과 구속영장기각결정에 따른 그 당부에 관한 영장항고제도의 이론적 틀과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내용을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속기준심의위원회가 신설되어 구속기준표가 마련된다면 경찰과 검찰 등 수사기관의 구속영장의 신청과 청구사유에 대한 구속기준표, 법원의 구속영장의 발부와 기각에 대한 경찰과 검찰, 법원의 3자간의 합의 또는 각자의 기준 등이 마련되고 공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구속기준표에 구속 관련 처리가 인신구속에 대한 경찰과 검찰, 검찰과 법원과의 갈등 해결 뿐만 아니라 인신구속과 관련하여 국민의 사법신뢰를 얻을 수 있는 객관적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경찰과 검찰, 검찰과 법원 사이의 영장과 관련된 갈등의 근저에는 경찰과 검찰, 법원의 합리적인 통합 구속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데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갈등의 해결방안으로 수사기관은 줄기차게 ‘영장항고제’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영장항고제의 도입된다면 수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인신구속 문제에 대한 경찰과 검찰의 또는 법원의 일방통행식 인신구속에 대한 결정이라는 국민적 비판을 잠재울 수 있다. 또한 수사기관의 과도한 인신구속을 통한 강제수사를 편의적으로 선호한다는 비난과 구속영장 발부의 당부에 관한 대법원의 판례를 축적함으로써 법원의 합리적인 구속기준을 세워 구속영장발부가 영장전담판사의 주관적・자의적 성향에 의해 좌우된다는 우려와 비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공허한 입법론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구체적 실현방법으로 구속기준위원회의 신설과 관련된 구성방안과 영장항고와 관련된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구속영장 재청구 사건 처리의 판사와 관련된 ‘인신구속사무 처리에 관한 예규’ 제53조 제1항의 개정법률안, 사법경찰관이 신청한 영장의 청구 여부에 대한 심의와 관련된 형사소송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re are broad deviations in the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in the application and request for an arrest warrant, as well as other related processes, including the dismissal and issuance of the warrant. The deviations can be attributed to the imbalance of power between stakeholders, including the police’s dependence on the prosecution’s request for supplementary investigation for warrant application, return and request, internal conflict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due to the court’s power to dismiss or issue the arrest warrant requested by the prosecution and conflicting standards for arrest warrant applications. This is a consequence of the varying and ambiguous standards for applying, requesting and issuing a warrant.
    In Korea, the conflict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over the request for warrants and dismissals have been ongoing over a long time, resulting in the aggravation and intensity of the people’s distrust in the judicial system.
    As the grounds for arrest are abstract and ambiguous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it is unavoidable to depend on the judge’s arbitrary decision. In order to avoid this issue, appeals to the warrant judge’s decision should be allowed. However, precedents set by the Supreme Court and the position of appeal disapproval oppose such a proposal.
    The major cause for such issues is the fact that a warrant judge is a case-accepting judge. Thus, to have an appeal or quasi-appeal, the judge is required to become a ‘court’ of Article 402, which is not applied to these circumstances. In the case of warrant dismissal, there is a system called the reapplication for warrant. If the appeal is allowed, the suspects’ unstable state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which can seriously violate the suspects’ freedom and human rights.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of Clause 1 of Article 101 of the Constitution, and Clause 1 of Article 5 and Clause 4 of Article 7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a case-accepting judge as a single judge becomes a ‘court’ similar to that of a collegiate panel, so the warrant dismissal is not an order, but a decision. The reapplication for a warran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disobedience of a decision of dismissal. The reapplication for a warrant by reinforcing the reason for warrant request after dismissal does not prevent the warrant judge’s arbitrary judgment. The reapplication for a warrant with no limitation in time can cause greater anxiety in respect to the violation of freedom and human right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rest warrant examination system in 1997, the current total arrest warrant request rate in 2019 has decreased by 78%, and the warrants directly requested by prosecutors has also decreased by 70%. Despite the great decrease in the request for warrants, the warrant dismissal rate increased almost 30% in 2019, which was 4.6 times greater than in 1997. Even though this is caused by the consistent emphasis of guaranteeing suspects’ freedom and defense rights, the national risk of crime has relatively increased. In order to limit the warrant judges’ arbitrary judgment on the decision of warrant dismissal,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nd the continental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and Japan are already operating the warrant appeal system.
    Meanwhile,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2007 resulted in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being conflicted over the warrant appeal system. After establishing the appeal system on the decision to dismiss a request for evidence preservation in Clause 4 of Article 184, proposed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Judicial Reform, the discussion of the warrant appeal system was postponed.
    This was approximately 14 years prior to today. Now, the discussion to introduce the warrant appeal system can no longer be postponed.
    After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n January 1st 2021, the police secured the independent investigation authority. In the circumstance where a prosecutor denies the request of an arrest warrant on the application by a judicial police officer without reasonable cause, the judicial police officer can apply for review to the High Prosecutor’s Office, which is the higher authority of the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For this procedure, each High Prosecutor’s Office has a warrant review board. Similar to this, the prosecutors should be able to appeal to the warrant judge’s decision of warrant dismissal, and a rational and objective ‘arrest standard table’ should be created and operated by a newly established arrest standard review bo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mendments to the Korea’s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e Arrest Standard Review Board by examining foreign warrant appeal systems and precedent of warrant appeal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광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