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에 재현된 교차징후적 상징성 -영화 <박서방>, <삼등과장>을 중심으로- (Symbolic aspects in crossing-over syndrome appeared in 60’s Korean Family Films -Focusing on the films Mr. Park, Third Grade Manag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11
31P 미리보기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에 재현된 교차징후적 상징성 -영화 &lt;박서방&gt;, &lt;삼등과장&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5권 / 4호 / 91 ~ 121페이지
    · 저자명 : 서의석, 김수정

    초록

    본고는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 근대화 전이과정으로 나타나는 교차징후의 상징성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하여 1960년대 제작된 한국의 가족드라마로 여겨지는 여러 영화들을 참고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표현방식과 주제를 다루는 시점에서 장르적 스타일에 따라 재현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박서방>(1960)과 <삼등과장>(1961)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두 편의 영화에서 재현하는 근대화 교차시기의 혼재된 양상과, 재현을 통하여 상징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편의 영화는 모두 전쟁이라는 커다란 역사적 사건 이후 찾아온 근대화의 교차시기에 위치하며 절묘하게 시대적 상황을 녹여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특성을 보인다.
    영화 <박서방>은 구시대적 삶을 이어가는 아버지와 세대 간의 갈등을 그린 영화로 교차시기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전통과 근대사이의 충돌 양상을 서민의 애환으로 녹여내어 드라마스타일로 풀어낸 영화이다. 반면 <삼등과장>은 같은 서민 가정의 삶을 중심에 놓고 있지만 가족집단 내에서 벌어지는 여러 해프닝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사회문제를 풍자적으로 비꼬고 있는 코미디스타일로 제작된 영화이다.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두 편의 영화 모두 서민들의 애환을 절절히 표현하고 있는 작품으로 과도기 상황에 놓인 한국사회의 빈 공간을 파고들어 실재하는 결핍에 의한 부재를 통해 부유하고 있는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위기의식을 갖도록 만들어 온전한 사회로의 복귀를 이루도록 만든다. 이는 전통적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가 근대화 유입에 의해 해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두 편의 영화는 당시 교차시기의 혼재된 양상 속에서 등장한 익숙함과 낯선 것 즉, 전통과 근대의 ‘충돌’을 통하여 다양하게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외부로 노출시켜 한국사회가 직면하게 될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살피게 함으로써 다양하게 등장하는 사회문제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든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about symbolic aspects in crossing-over syndrome appeared through modernization in 60s Korean family films. For this research, we took references from numerous films produced in 1960s which are regarded as korean family drama, and among them, we chose two films Mr. Park and Third Grade Manager, which differ in representing methods according to styles in genre in order to deal with the theme and expressing style, and researched on mixed images of crossing-over through modernization represented in two films, and what they intended to symbolize through the representation. Both films are common in that they are located at the crossroads of modernization after the great historical event of war and exquisitely dissolve the times.
    The film Mr. Park is a film depicted conflicts among generations which derived from a father who still leads an old-fashioned life, and a drama dissolved normal people’s agony into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age which generally appear in crossing-over era. Otherwise, the film Third Grade Manager is a film centered in the same normal family lives but a comedy which depicted social problems with sarcasm through happenings appear in a family group. The two films differ in styles but they both represents the agony of normal people, and they pierce into the empty spaces in Korean society which laid in a situation of crossing-over, and they intended social members, who are floating with emptiness which is real, to return to a whole society by awakening consciousness of crisis. This means that the ideology of traditional patriarchy is being dismantled by the influx of modernization. So these two films help us to newly recognize the diversly appearing social problems by revealing the up-coming shadowy sides of Korean society through exposing social problems, which turned out in the mixed situation of crossing-over, of ‘the familiar verses the strange’,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