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구경기기록원 자격취득에 대한 법적 검토 - 행정에 있어서의 차별금지원칙 등을 중심으로 - (A Legal review on License acquisition for Basketball Score Keepers-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principle in administration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2
20P 미리보기
농구경기기록원 자격취득에 대한 법적 검토 - 행정에 있어서의 차별금지원칙 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26권 / 1호 / 157 ~ 176페이지
    · 저자명 : 황헌순

    초록

    현재 우리나라에는 「스포츠기본법」이 제정되어 시행 중이다. 동법 제2조는 이 법의 기본이념으로서 ‘이 법은 국민 모두가 스포츠 및 신체활동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참여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스포츠의 가치가 교육, 문화, 환경, 인권, 복지, 정치, 경제, 여가 등 우리 사회 영역 전반에 확산될 수 있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다하며, 개인이 스포츠 활동에서 차별받지 아니하도록 하고, 스포츠의 다양성, 자율성과 민주성의 원리가 조화롭게 실현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스포츠활동을 한다는 것이 국민 개개인이 선수로서 참여하는 것을 주된 논의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체육의 확대 등으로 인해, 국민 개개인이 스포츠활동에 참가함에 있어 심판, 지도자 등 스포츠와 관련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위 기본이념과 관련하여 특히 ‘개인이 스포츠 활동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차별금지와 기회균등의 보장’의 관점을 연구의 주제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농구의 경기통계 기록원의 자격요건’을 중심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농구 이외에 우리나라에서 주요 구기종목으로 언급되는 배구, 야구, 축구에서의 관련 논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법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관련 제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농구경기에 있어서의 심판과 경기기록원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행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심판과 경기기록원의 자격취득과 관련하여 예외가 더욱 많이 마련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예외는 일반적인 승급 혹은 승격제도를 이용하는 국민과 비교할 때, 특정인에 대한 편의 혹은 특혜로 작동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경기기록원의 연령에 따른 차별취급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대한민국농구협회 경기원 자격 및 교육규정’ 제4조 제4항은 경기원의 활동연령은 만 60세까지로 한다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에 대한 공지에 있어서 만 40세 이하로 한다는 자격요건을 발견할 수 있다. 연령제한규정으로 인해 스포츠활동에 참가하는 기회가 박탈당하는 국민이 생겨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상위규정에 위반하는 내용으로서 그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으로서는 입법적 논의보다는 스포츠행정의 집행단계에서 관련 논의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현재 협회의 개별 교육이나 강습을 행함에 있어 제규정들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논의들의 바탕에는 「스포츠기본법」의 기본이념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이념이 단순한 확인적 규정에 그치지 않고, 개별 스포츠활동에서 그 취지를 발휘하도록 법적으로 검토하는 차원에서 본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스포츠기본법」의 기본이념과 개별 스포츠행정이 별도로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되어 보다 일관성 및 통일성을 도모한 스포츠행정이 행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ports Basic Law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in Korea now. The basic ideology of Article 2 is to ensure that the value of sports can spread throughout our society, including education, culture, environment, human rights, welfare, politics, economy, and leisure, and to ensure that individuals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in sports activities, autonomy and democracy. In the past, sports activities were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for individual citizens to participate as athletes. However, due to the recent expansion of sports for all, individual citizens have played various roles related to sports such as referees and leaders i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discrimination and equal opportunity” that “individual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in sports activities.” In conducting such a study, it will be reviewed focusing o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basketball game statistics recorder'. As a research method, we will look at related discussions in volleyball, baseball, and soccer, which are mentioned as major ball games in Korea in addition to basketball, and look at related systems in Japan, which have similar legal systems to Korea.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Japan,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exceptions in Korea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for referees and Score keepers. Compared to the people who use the general promotion or promotion system, the excep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conditions should not work as convenience or preferential treatment for a specific person.
    Second, there is posibility for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core keepers. Although Article 4 (4) of the Korea Basketball Association's Qualification and Education Regulations explicitly stipulates that the age of Score keepers is up to 60 years old, it is possible to find a qualification requirement to be under 40 years old in notification of education. No people should be deprived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due to age restric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is content violates the higher law and its effect cannot be recogniz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closely review related discussions at the execution stage of sports administration rather than legislative discussions. In other words, it will be important to monitor whether the association is currently complying with the regulations in conducting individual education or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reviewed in this study will be revised as a system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Sports Basic Law. Through this, I hope that sports administration will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In the end, the basic ideology of Sports Basic Law lies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legally review this basic ideology not only to be a simple confirmatory regulation, but to exert its purpose in individual sports activities. It is hoped that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ports Basic Law and individual sports administration will not be discussed separately, but that sports administration will be discussed as an extension to promote more consistency and 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