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상풍력발전과 주민 수용성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사회네트워크 분석(SNA)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A Social Network Analysis(SNA) on the Study of Offshore Wind Farms and Community Acceptance in KCI Journal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10
21P 미리보기
해상풍력발전과 주민 수용성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사회네트워크 분석(SNA)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3권 / 3호 / 117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동호

    초록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에 하나로 친환경적인 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와 연구도 최근에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단지에 관련된 분야의 성장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에서 풍력발전의 경우에는 육상과 해상으로 구분하여 개발과 운영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인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이해관계자들 간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들로 인해서 최근 많은 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수용성에 대한 부분은 상당히 주목받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해상풍력발전 및 주민 수용성에 대한 문헌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통향, 추세 그리고 핵심적인 논제들이 무엇인지를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체 표본집단은 기간적으로는 1995년부터 2021년 5월까지 내용적으로는 해상풍력과 주민 수용성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연구 문헌 중에서 중복과 구분에 오류가 있는 문헌을 제외한 488개의 연구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제목, 초록, 키워드의 세 가지 서지정보를 각각 한글과 영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이학이나 공학계열의 연구들은 구조공학/지질학/토목공학 분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노파일, 터빈과 같은 특정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도 특징으로 나타났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주민 수용성 관련 원자력발전 연구, 방사성폐기물처리장 관련 연구 그리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관련 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해상풍력과 관련해서는 법률과 주민 수용성 그리고 경제성이나 타당성이 주요 핵심 주제어로 분석되었다. 또한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신뢰, 위험, 지역, 인식, 편익, 지원, 참여, 정책, 지식과 같은 어휘가 중요한 핵심적 요소로 최근의 연구에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해상풍력에서는 경제성/참여/주민 수용성 등이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태양광/풍력/조력(파력)/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별로 진행되는 연구나 접근법을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다소 합리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자나 연구자에게 다음과 학문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국가나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서 상당히 다양하게 추진되고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나 사업에 대한 사례연구 형식의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주거지 공간 설치와 경제활동 공간 설치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관련된 수용성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에 대한 포괄적 정의나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보상중심의 방식으로 재무적인 차원에서 지역 공동체와 나누는 수준이 아닌 비금전적 혹은 비재무적인 차원에서의 접근과 이익공유의 기간이나 방법에 대한 다면적인 접근까지도 고려한 확장된 이익공유모델(Extended Benefit Sharing Mechanisms; EBSM)에 대한 연구도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연구가 문헌 중심의 탐색적 연구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신・재생에너지관련 연구는 물론 해상풍력과 관련된 현재까지의 연구에 있어서 주요 관심사와 주제들을 개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향후 연구되어야 할 분야 혹은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분야를 부분적으로 도출하고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다양한 분야별로 공통적인 특성이나 개별 특수성을 도출하는 연구로 향후 본 연구가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One of the alternatives for protecting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has pu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co-friendly energy in the spotlight, especially the growth of photovoltaics and wind farms in renewable energy. Offshore wind farms are the most popular energy facility with the greatest potential among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However, there is a big gap between national opinion and the local acceptance of wind farms. Even though investment in offshore wind farms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complicated and hard-to-solve problems(e.g. acceptability/acceptance, trust, participation and so on) that exist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offshore wind farms and the acceptance based on the KCI Journals with Social Network Analysis(SNA). All targeted KCI papers were refined with integrity and consistency, the 488 papers that including both science and social science division were selected for sample group.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of each paper were revised and used.
    Based on the results, structural engineering, geology, civil engineering related concepts like monopiles, turbines, wind resources, and flotation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science division. In social science division, policy, law, economic, feasibility, participation, trust were most prevalent. However, most acceptance related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study of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oactive waste from the year of 1995 to 2021 in the KCI journals. Although a few studies on offshore wind farms adopted the concept of acceptance or acceptability.
    This paper would suggest some guidelines or inspiration on researching offshore wind farms and community acceptance for: 1) More cases based or quantitative studies should have to be done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on those topics 2) A multifaceted approach to define the various range, period, and members of stakeholders in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3) An enhanced or extended Benefit Sharing Model(BSM) that would cove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eyond the limited compensation.
    Although this study has exploratory research characteristics in offshore wind farm and acceptance topics, it could help to identify key topics that have been studied and be used for discovering topics that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Furthermore, it would be developed for analyzing the distinctiveness of each renewable energy categ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