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자상거래의 소비자보호 - 스팸메일 규제와 에스크로제도의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Controlling Spam Mails and Escrow Syste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전자상거래의 소비자보호 - 스팸메일 규제와 에스크로제도의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7권 / 1호 / 79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두진

    초록

    오늘날 전자상거래는 디지털경제의 꽃으로 불리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대금 결제가 네트워크상에서 행해지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에 의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이뤄지는 상품 또는 용역의 거래를 말한다. 전자상거래에는 기업대 기업간(B2B), 기업대 소비자간(B2C) 및 기업 대 정부간(B2G) 전자상거래 등의 종류가 있다. 전자상거래라는 용어를 전자거래라는 용어로 전적으로 대체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이미 전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그것은 부적절하다. 다만 비록 인터넷으로 이뤄지는 거래라고 해도 소비자와 소비자간의 거래(C2C)라면 일종의 전자민사거래이고 이것과 전자상거래를 합한 것이 전자거래라고 개념정의할 수 있으며 우리 법제는 이미 이러한 용례를 사용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거래의 비대면성, 당사자의 익명성, 소비자의 수동적 역할 등의 특성을 가진 특수거래이다. 이들 특성이 거래비용 절감을 통하여 전자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상거래는 악용되면 사기, 기만적 거래 등에 사용되어 신속하고 대량의 소비자피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전자상거래의 소비자피해를 방지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스팸메일 규제와 제3자 결제대금예치(에스크로)제도 등의 의의와 개선방안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스팸메일은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사이버공간의 안정성과 기능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소이고, 에스크로제는 특히 선불식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의 대금지급의 반대급부가 제대로 구매자에게 도달하도록 담보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이다. 필자는 전자에 대해서는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에 반할 수 있는 옵트인방식에는 반대하나 소비자의 의사를 더 정확히 관철시킬 수 있는 세분화된 옵트아웃방식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행정청이나 그로부터 공무를 수탁받은 사인에게 스팸메일의 송신 또는 수신단계에서 차단하는 필터링 방식의 규제를 할 수 있는 행정적 권한을 법률에 의하여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자에 대해서는 에스크로제를 소비자피해보상보험계약등의 체결의무와 선택적으로 선불식 통신판매업을 운영하려는 전자상거래업자가 반드시 구비할 제도로 하여야 하고 동시에 에스크로제의 예외범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Nowadays the electronic-commerce is said to be the “quintessence of digital economy.” E-commerce refers to sale or purchase of goods or services which are made as a whole or in part through data messages over electronic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dependent of whether the payment is made on the network. E-commerce has various forms such as Business to Business(B2B), Business to Consumer(B2C) and Business to Government(B2G). The electronic Consumer to Consumer transaction(C2C) is not an e-commerce but e-transaction. Some commentators insisted that the term “e-commerce” be replaced with the term “e-transaction” in order to include C2C. I agree partly with that opinion because C2C is not a kind of commerce. However the term “e-commerce” has been used so broadly and traditionally. So we may well use the two terms at the same time.
    E-commerce has various characters such as non face-to-face contacts, anonymity of the parties, passivity of the consumer’s role. All these characters of e-commerce may at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transacts limiting transaction costs. However, to the contrary, the same characters of e-commerce can on its dark side be misused by opportunistic sellers as means of deception, cheating or fraud that may result in consumer’s prompt and much loss.
    In this article, one of my goals is to provide harmonized understanding of the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etc(established Mar. 30, 2002, Act No. 6687, lastly amended Aug. 3, 2007, Act No. 8635). Thus, I tried to analyze the definitions of e-commerce and mail-order sales. And I looked on some basic issues including the control of spam mails and the escrow system. The spam mails may be defined as unsolicited bulk commercial e-mails. The spam mails should be controlled because they not only irritate unwanted mail-receiver, and cause some internet traffic jams but also be used as means of deceptive or fraud sales. There are opt-in and opt-out systems in the control of spam mails around the world. And the escrow system is necessary to protect consumers particularly in the prepaid mail-order sale. I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for legislature that modify current opt-out system and add some automatic administrative intervention to suspicious IPs and limit some exception to apply the escrow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