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 복수(複數)의 역사들을 위하여 (One Hundred Years of 5.4 & ‘Jottings under Lamplight’: For Multiple Histori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8
40P 미리보기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 복수(複數)의 역사들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회과학논총 / 1권 / 2호 / 4 ~ 43페이지
    · 저자명 : 백원담

    초록

    이 연구는 3.1운동과 5.4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그 당대적 의미와 현재적 의미를 사상사적 맥락에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세 가지 지점에서 이 문제에 접근한다.
    첫째, 3.1운동과 5.4운동이 대두되었던 당시, 곧 제1차 세계대전 전후 국면에서 그 운동들은 세계사의 문명적 전환 문제와 반제국주의 운동이라는 함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그 운동들의 동시대적 개진을 탈경계적 사상연쇄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그것은 두 운동의 100주년의 시점에서 한국과 중국이 각기 국가 주도로 역사다시쓰기를 하는 것을 문제 삼는다. 그리고 국가가 주도하여 정사와 정통론을 추동하는 문제에 대해 복수의 역사 다시쓰기로 대응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는 국가로부터 역사를 구출하기의 탈식민적 서사기획이 아니다. 그것은 당시 반제민족해방운동의 다양한 흐름을 아시아적 맥락에서 새로운 근대를 향한 탈경계적 사상의 연쇄와 전화과정으로 재구성해내기 위함이다.
    둘째, 5.4 100주년의 오늘 중국의 사상지형과 5.4 연구의 위상학을 살펴본다. 그것은 중국 공산당이 신시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자유주의에 이데올로기적 체제적 경쟁을 제기한 역사단계에서 5.4의 21세기적 소환이라는 역사다시쓰기의 국면을 사상사적 경합과 절합의 경관으로 드러내는 작업의 일환이다.
    셋째, 포스트 지구화 시대 역사다시쓰기의 함의와 복수의 정치학 개진 문제를 제기한다.
    한국과 중국은 반근대적 근대성의 기획의 역상(逆像)을 그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전근대는 물론, 타율적 근대화의 역정 속에서 냉전아시아의 대립과 지구적 지역화의 동보(同步), 그리고 이제 포스트 지구화시대 전후체제의 재편과 그 전망을 함께 만들어가지 않으면 안 되는 새로운 관계성 형성의 경로에서 동행하고 있다.
    최근 동북아는 중층적 모순 속에서 격동하고 있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국면과 중미 무역전쟁 그리고 일본의 경제규제에 따른 한일갈등의 국면, 홍콩의 반송중 사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북아 정치경제 지형에서 그 경합과 절합의 관계동력은 아시아와 세계 전후체제의 전환에 어떻게 작동할 것인가. 이 연구는 이 문제를 아시아에서 근대기획 추동의 사상사적 전개 맥락에서 해명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I will celeb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and 5.4 movements, and discuss the current meaning of the movement in Korea and China in the context of thought history. This article approaches the issue in three ways.
    First, at the time the 3.1 and 5.4 movements emerg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World War I, the movements had the problem of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of world history as an anti-imperial movement.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development of the movements in the dimension of cross-boundary thoughts chain. This raises the question on “rewriting history” by the regime of Korea and China at the 100th anniversary of both movements. And the issue that the country takes the lead in promoting official history and orthodox theory by rewriting national history raises the necessity of writing multiple histories. It is not a post-colonization plan to rescue history from the state. It is a reconstruction of various flows of the anti-imperialist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t that time into a chain of cross-border thought to new modernization and conversion process in Asian context.
    Second, I focus on the ideological mapping of China and the topology of 5.4 research today. Two years ago, Xi Jinping announced the socialist ideolog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Xi Jinping is advocating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modernization powers, aiming to construct the new world order through competi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liberalist nations over ideology and political systems. It attempts to export the Chinese model to the third world countries. In that sense, it is important to summon 5.4 historically. It is a work that reflects on the history of modern 100 years and reveals its prospects. It inevitably reveals the landscapes of ideological rivalry and articulation.
    Third, this study raises issue on the implications of historical re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plural politics in the post-globalization era.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 and China depict the opposite phase of anti-modern modern projects. However, South Korea and China are co-ordinating with the Cold War Asian conflict and global localization in the path of heteronomous modernization and pre-modern as well. It should be accompanied by a new relationship formation path that restructure the system and create its vision.
    Recently, Northeast Asia has been turbulent in a multi-layered contradiction. It includes the recent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S,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caused by Japanese economic regulations, and the struggle against the repatriation of criminals into Mainland China in Hong Kong. So how does political and economic competition and articulation in Northeast Asia work to transform the post-war regime in Asia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elucidate this problem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thought history in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