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경도감본 「成唯識論了義燈抄」 권3․4의 판본대조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Woodblock-Printed Books of Vol. Three and Four of Seongyoushikryoeuideungcho in the Gan’gyeongdogam)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3
18P 미리보기
간경도감본 「成唯識論了義燈抄」 권3․4의 판본대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9호 / 133 ~ 150페이지
    · 저자명 : 최종남

    초록

    본 논문에서는 惠沼(651-714)가 「成唯識論」(護法等造)을 주석한 「成唯識論了義燈抄」(권3․4)를 판본들인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 天理大 圖書館 소장본, 그리고 활자본들인 大正藏본, 卍續藏經본들과 서로 대조․연구하였다. 「成唯識論了義燈抄」는 국내에서 유일본으로서 世祖年間(1455-1468)에 판각된 刊經都監本이다. 동 판본은 板式에 의하면 宋本을 飜刻한 것이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2004년 1월 7일에 松廣寺 四天王像 北方天王의 복장에서 발견된 것이며, 현재 보물 제1468호로 지정되어 있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앞에서 언급한 판본들 및 활자본들과 대조하면 교감과정, 판각과정, 혹은 전래과정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량의 오기, 오각, 오류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기, 오류 등은 대장경의 판본이 판각되기 이전인, 즉 宋代 이전의 필사본들인 중앙아시아 돈황본들에서 주로 찾을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판본임에도 불구하고 찬술자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다. 특히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지시대명사, 명사, 조사, 접속사, 부정사, 문장 등의 삭제, 첨삭, 오기, 오류 등을, 그리고 大正藏本에서는 교감자의 오류를 각각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들은 본 논문에서 대조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①단어의 삭제, ②단어․문장의 첨삭, ③단어를 중복하여 판각, ④음이 같은 한자로 판각, ⑤동일한 의미와 음을 갖는 한자로 판각, ⑥의미가 비슷한 한자로 판각, ⑦단어․문장을 바꾸어 판각, ⑧단어의 倒置, ⑨字形이 비슷한 한자로 판각, 그리고 ⑩이체자 등이다.
    본 대조․연구에 의하면 현재 유통되고 있는 「成唯識論了義燈抄」는 2가지 유형으로서 송광사 소장 간경도감본과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이 일치하고, 그리고 大正藏본, 卍續藏經본이 서로 일치하다.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과 板式이 동일하여 字形, 行․字數, 삭제․첨삭된 단어, 異體字 등이 모두 일치하다. 이에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의 번각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成唯識論了義燈抄」의 일부 판본들과 활자본들만을 서로 대조하여 판본 및 활자본들에 있어서 찬술자인 惠沼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음을 전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본 논문에 이어서 다양한 불교학․서지학적 후속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for Seongyoushikryoeuideungcho (Vol. 3 and Vol. 4) in which Hui zhăo (651-714) annotated on Ch’êng wei shih lun with the wood-printed books from Qū wò xuán Library and Tenri University Library, and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only script in the nation,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the Gan'gyeongdogam, which was in charge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period of King Sejo (1455-1468). The same woodblock-printed book was engraved as translating the book from Sòng China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print.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found inside the clothing of the northern heavenly King among four guardian kings in the Songgwang Temple, on the seventh, Jan, 2004, currently designated as the Treasure no. 1468.
    If comparing with woodblock-printed books and other printed books I mentioned above,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scripture of Gan'gyeongdogam, has lots of wrong records, mis-engraved letters, and mistakes which might occur in the proofreading, engraving, or transmitting processes. Such wrong records and mistakes are those which we can find out mainly in the manuscripts of Dūnháng in the Central Asia before the period of Sòng China, when the prints of Tripitaka Koreana were engraved.
    However, unfortunately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s, though it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writer's original intention. Especially, we are able to find out deletions, corrections, wrong records, mistakes of sentences of demonstrative pronouns, nouns, propositions, conjunctions, infinitives in the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and the errors by editors in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These are as below. ① deletion of words, ② correction of words and sentences, ③ repeatedly graved words, ④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sounds, ⑤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meanings and sounds, ⑥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⑦ graving changed words and sentences, ⑧ changing words' positions, ⑨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letter types, and ⑩ different letter types and so forth.
    According to my comparativ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Seongyoushikryoeuideungcho currently used.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Songgwang Temple and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 are in the same type and also the print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are in the same type.
    The woodblock-printed books have the same styles of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letter types, numbers of lines and letters, deleted and added words, and different style of letters etc.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translated and engraved prints of Qū wò xuán Library.
    As a result, I wanted to say that Seongyoushikryoeuideungcho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writer, Hui zhăo, as compared some woodblock-printed books and manuscripts with other sources. I look forward to having various buddhist and bibliography studies following this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