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 영화들에 나타난 내셔널 시네마적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Cinema: A Progressive Investigation of the Remakes of Arira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2.12
21P 미리보기
‘아리랑’ 영화들에 나타난 내셔널 시네마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3호 / 79 ~ 99페이지
    · 저자명 : 황영미

    초록

    이 연구는 나운규의 <아리랑> 이후에 등장한 ‘아리랑’이 제목에 있는 영화들을 ‘아리랑 영화’로 보고 아리랑 영화가 ‘내셔널 시네마’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내셔널 시네마의 개념을 민족영화와 같게 보지만,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의 1980년대식 현실을 드러내는 민족영화와는 다른 일반적인 의미의 ‘민족영화’로 본다. 내셔널 시네마라는 용어가 민족 자체, 민족의 과거, 현재, 미래, 문화적 유산, 토착 전통, 공통의 정체성과 연속성에 대한 감각을 반영하면서 내부를 바라보는 내향적 시선과 다른 민족 영화들과 구별되고자 하고 타자성의 의미를 강조하면서 경계들을 가로질러 밖을 바라보는 외향적 시선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내향적 시선에서 점차 외향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나운규의 <아리랑>과 리메이크 영화를 모두 내셔널 영화의 기원으로 보고, 첫째로 ‘삼천리 강산’이나 ‘아리랑 고개’라는 국토에 대한 인식과 한이라는 정서에서 공감되는 눈물과 억압적 현실상황에 대한 저항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등장한 아리랑 영화들에서는 내셔널 시네마의 지형 변화를 도출해 냈다. <아리랑아>에서는 국토의 아이덴티티, <수잔브링크의 아리랑>에서는 디아스포라의 아이덴티티, <구로아리랑>에서는 시대적 요소가 강조된 민중의 한의 표출 등으로 내셔널 시네마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집단적 한의 표출이 아니라 개인적 한의 표출이라고 볼 수 있는 김기덕 감독의 <아리랑>을 통해서는 국제영화제라는 장에서 내셔널 시네마의 외향적 지평이 확대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한국 영화 내에서 민족영화로 지칭되는 내셔널 시네마를 아리랑 영화들에서 살펴본 결과, 민족 공통의 정체성과 연속성을 반영하는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전지구적 세계화로 인해 점차 다른 나라의 영화들과는 구별되어 특수한 가치를 부여받게 된다는 관점으로 지평이 넓혀진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아리랑 영화들에서만 도출한 내셔널 시네마의 특성이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앞으로 내셔널 시네마와 관련된 특징들도 다양하게 도출되며, 이에 따라 논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eals som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inema as reflected in the various remakes of the film Arirang. To begin with, the concept of Korean National Cinema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an ‘ethnic film’. Nonetheless, the idea cannot be narrowly applied to the ethnic film and specific conditions of 1980s Korea. National cinema contains two points of view. One is a more introspective angle which ponders the sense of Korean nationhood. From this angle, the nation’s past, present, future, its cultural heritage, indigenous traditions, shared identity and continuity can be seen. The other is a more externalized point of view which regards how national cinema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film of other cultures by looking outside Korea and considering cross-over between boundaries. The stance of this article gradually shifts from the introspective to the externalized perspective.
    Na Woon-gyu’s Arirang (and other remakes) may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national cinema. From here I identify the issue of national resistance during the years of colonial oppression and the tears shed for homeland recognition. This sentiment is reflected by ideas such as ‘the whole land of Korea’ and ‘Arirang Gogae’ while the feeling is best proximated by the English word ‘sorrow’. Still, it remains an elusive concept to pin down.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term is reflected in that every cinematic remake of Arirang addresses a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 of the word. Consequently, this study draws out the aspect of homeland from Arirang-A, the aspect of the Diaspora from Susanne Brinks’ Arirang, and the expression of the sorrow of the people (as it emphasizes contemporary elements) from Guro Arirang. It concludes by identifying the genesis of the externalized shift of national cinema as Kim Kiduk’s Arirang. This remake relates an expression of individual sorrow, as opposed to the historical enactment of collective sorrow, and finds a wider audience from the base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is article narrows its focus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inema drawn from Arirang films. It is hoped that similar exploratory discussions will identify mor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inema as time goes by, and that they will contribute to the continuing global debate on ethnic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