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당구법순례행기』, 엔닌이 만난 길 위의 이름들 (Ennin’s Diary, The Names which Ennin had met on His Wa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6
23P 미리보기
『입당구법순례행기』, 엔닌이 만난 길 위의 이름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5권 / 3호 / 265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순배

    초록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전반 일본인 불교 승려 엔닌이 당나라로의 구법 여행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행문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들과 개인의 감정들을 길에서 만난 사람들과 자연들의 이름을 중심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특히 동북아시아 한・중・일 삼국 사이에서 펼쳐졌던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 속을 횡단했던 한 인간의 활동을 길과 이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엔닌이 구법과 순례의 여행길에서 만났던 이름들을 크게 인명과 지명으로 나누어 두 개의 장을 구성하였다. 첫째, ‘길 위의 사람들’이라는 장에서는 엔닌의 문화역사지리학자로서의 면모와 여행기의 학술적 가치를 간략히 소개한 후, 엔닌이 만난 당나라와 신라 사람들에 대해 관찬 사서들이 말해 주지 않았던 그들의 평범한 삶의 모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길 가의 자연들’이라는 장에서는 9세기 전반 당나라의 산과 강, 마을과 도시의 풍경을 오대산, 황하, 대운하, 그리고 15도(道) 행정구역, 장안, 촌(村)과 방(坊) 등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끝으로 엔닌이 귀국길에 경유했던 한반도 서남해안의 바닷길과 섬 이름을 기초적으로 분석하여 엔닌 일행이 정치적인 이유로 완도의 청해진을 방문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고 고이도, 구초도, 안도의 지명 위치 비정을 시도하였다.

    영어초록

    『入唐求法巡禮行記』(Ennin’s Diary) written by Japanese Buddhist monk, Ennin (圓仁) in the early 9th century is a diary-style travel writing which is the record of his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historical facts and personal feelings recorded in it, focusing on the names of people and nature which he had met on his way of a trip to Tang(唐) and Silla(新羅) dynasty. The theme of article is here discussed anthroponyms and toponyms in two separat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itled ‘The People on the Way’, I shortly introduce Ennin’s appearance as a cultural-historical geographer and the academic value of his travel writing, and then present the ordinary life of the Tang people and Silla residents in Tang on which official history did not tell all the particulars. In the second chapter named ‘The Nature along the Way’, I explain some geographical features of Wutaishan (五台山), Huanghe (黃河), Dayunhe (大运河), Tang’s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十五道), Changancheng (长安城), and the lowest administrative districts, Cun(村) in rural area and Fang (坊) in urban area. Finally, I basically analyze the see route and island names i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which Ennin had returned to his country, Japan. In particular, I identify the historical fact that he and his crew was not able to visit to Cheonghaejin (淸海鎭), the base of Jangbogo fleet force in Wando for political reasons at that time, and try to decide exact location of island names such as Goyi-do (高移島), Gucho-do (丘草嶋), and An-do (鴈嶋) on his homeward journ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