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염상섭과 진화론 - 염상섭의 초기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 (Yeom Sang seop and Evolutionary Theory - based on his initial texts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8
30P 미리보기
염상섭과 진화론 - 염상섭의 초기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8호 / 451 ~ 480페이지
    · 저자명 : 이만영

    초록

    본고에서는 염상섭의 초기 문학론에서 나타나는 진화론에 대한 사유의 특질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만세전』을 재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염상섭의 초기 평문을 검토한다. 염상섭은 「개성과 예술」에서 ‘지류(紙類)의 비유’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양지(洋紙)와 조선지(朝鮮紙)가 공통된 ‘개성’과 ‘생명’을 갖는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법에 따르면, 양지나 조선지가 그러한 것처럼, 제국과 식민지는 모두 공통된 생명이 있다는 점에서 동등한 가치를 지녀야 한다. 이러한 진술을 토대로 볼 때, 그가 제출한 ‘개성’과 ‘생명’ 개념은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으로 요약되는 진화론적 사유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발표된 평문 「지상선을 위하여」에서도 이와 유사한 논법이 구사되고 있다. 이 평문에서 염상섭은 가부장에 예속된 ‘노라’의 조건과 제국에 예속된 식민지의 조건을 동일한 층위에서 논의하고 있다. 그는 가정 내에서 인격을 충분히 존중받지 못했던 ‘노라’에게서 식민지 조선의 얼굴을 읽어냈으며, 식민지 조선이 자주권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노라’가 감행했던 자기 혁명의 정신, 즉 개성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봤던 것이다. 이렇듯 그는 제국/식민의 지배/예속 관계를 비판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전근대적 가족문제를 거론하고자 했으며, 여기에서 언급된 ‘개성’과 ‘생명’도 역시 지배/예속, 강자/약자, 승자/패자의 이분법을 극복할 수 있는 술어로서 활용되었던 것이다. ‘개성’과 ‘생명’ 개념은 『만세전』에서도 중요하게 부각된다. 적자생존과 우승열패의 세계 속에서 생물학적인 의미의 생존에 급급해 있는 식민지 조선(인)의 풍경을 세밀하게 그려냄으로써 염상섭이 얻으려했던 궁극적인 목소리는, ‘개인’과 ‘생명’과 ‘자각’이었다. 이 개념들은 진화론적 조건이 작동하는 조선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비판한 후에 비로소 솟아나온 것이자,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의 원리가 지배했던 ‘무덤’의 시간을 일거에 불식시킨 사건으로서 3․1운동을 재호명하기 위해 제출된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paper finds out the features on evolutionary theory found in Yeom Sang-seop’s initial literary theory, and re-read “Mansejeon” based on it. To do this, it is needed to review his text in early days. He suggests ‘type of papers comparison’ in “Personality and Art”. Through this, he insisted that papers of western world and Joseon both have common ‘personality’ and ‘life.’ According to such a logic, as western papers and Joseon papers, countries which colonize and being colonized should have the same value as they both have a common life. Based on such a statement, submitted notions of ‘personality’ and ‘life’ of him are something devised to overcome evolutionary thinking which can be summarized as ‘dominance wins while recessive lost’ and ‘the survival of the fittest.’ The other writing, “For the supreme good” which was published later also took on similar reasoning. From this, he discussed Nora’s condition who is under control of patriarchy and a condition of colonized nation which is under control of empire on the same layer. He has read the face of colonized Joseon from ‘Nora’ whose personality was not respected enough in the house, and thought that if Joseon’s independency was to be secured, the spirit of self-revolution or establishment of personality, like the one Nora went through, was needed. He, as a starting point to criticized empire, colonization and subordination, tried to discuss of family issue in modern days and the words ‘personality’ and ‘life’ mentioned here were used as predicative to overcome dichotomy of dominance and subordination, the strong and the weak, and the winner and the loser. The notion of ‘personality’ and ‘life’ are also highlighted in "Mansejeon". The novel meticulously illustrates colonized Joseon (and its people) which struggles to survive on the biological sense in the world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ultimate voice he wanted to achieve is ‘personal’, ‘life’ and ‘awakening.’ These notions are newly emerged ones only after Joseon under evolutionary condition, was confronted and criticized. Also they are submitted to re-call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eliminated the times of ‘grave’ that was ruled by ‘dominance wins while recessive lost’ and ‘the survival of the fitt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