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요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활용에 대한 질적 연구: 전북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on Utilization of Facebook by College Students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 Focusing on Chonbuk University Student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05
34P 미리보기
중요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활용에 대한 질적 연구: 전북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27권 / 2호 / 107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명아

    초록

    본 연구는 중요사건기법(CIT)을 통해 전북대 학생들의 페이스북 활용을 좀 더 경험적인 실제 사건의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대학생들에게 페이스북은 친구 관계, 학교생활과 아르바이트 및 취업 등과 관련된 정보획득에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며, 현재도 페이스북 사용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험적인 사건기법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경험한 실제 사건들, 즉 페이스북의 긍정적⋅부정적 경험 사건 및 참여 정도 및 이용 여부와 관련된 기억에 남는 실제 사건들을 개별적으로 파악⋅분류⋅ 수치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페이스북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나아가 긍정적인 페이스북 이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경험 사건은 총 51개, 부정적 경험 사건은 총 63개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인 결과는 첫째,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긍정적 사건으로는 타인 및 친구와의 관계 형성과 관계 유지라는 이유가 많았으며, 그 관계 속에서 혼자가 되는 상황을 견디기 어려워했다. 대학생들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타인에게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습관성, 정보 공유 실패의 두려움, 소외감 극복, 자기표현 등이었다. 또한, 학교나 기업 등에서 페이스북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유용한 생활 정보, 아르바이트 정보, 취업 관련 정보획득이라는 긍정적 사건의 경험이 지속적인 페이스북 활용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둘째, 원치 않는 사생활 공개나 일방적 접촉이라는 부정적 경험에 의한 염려가 가중되면서 적극적인 참여보다는 간접적으로(좋아요 기능 누르기, 눈으로 하는 채팅) 자신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들이 장시간 이어지면서 습관적인 장시간 이용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대학생들의 수업시간에도 지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간접적인 행위가 많을수록 타인이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 지속해서 보게 되어 상대적 박탈감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페이스북의 이용이 부정적인 경험의 사건들과 연결되지만, 페이스북 이용을 그만두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사회적 단절에 대한 염려였다. 주목할 점은 부정적 경험에 인지가 높은 학생들의 지속적인 페이스북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삶의 질 저하에 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페이스북을 통한 대학 생활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 패턴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환경 개선, 부정적 결과에 대한인지 및 통제 교육, 존중의 문화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eonbuk University students’ use of Facebook through Critical Event Technique (CIT) in depth in the level of more experienced actual events. For college students, Faceboo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friendship, school life, part time and employment. Nowadays, college students are still worried about using Facebook. Therefore, this study individually grasps, categorizes, and quantifies the actual events of memories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participation level, and use of Facebook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is study has identified what meaning Facebook is accepting to college students and what is necessary for positive Facebook use. As a result, 51 positive experience cases and 63 negative experience cases were classified. Overall, the results were: First, college students were using Facebook to build and maintain relationships, and it was difficult to be alone in that relationship. College students needed constant interaction for fallacies, habits, fear of failure to share information, overcoming alienation, and self-expression. In addition, college students were using Facebook as a means of obtaining useful life information(classes, grades, scholarships, etc.), job information, and employment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schools and businesses through Facebook. Second, as the anxiety of negative experience of unwanted privacy or unilateral contact increased, college students were focusing on revealing themselves indirectly (clicking on likes, chatting with eyes)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As these activities continued for a long time, college students had a negative experience that they would use for a long time. And this was hindering the class. The more indirect the behavior, the more the other users see the contents posted, so they experience a lot of relative deprivation. Third, while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events on Facebook, they were unable to quit Facebook because of concerns about social disconnec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quality of life may deteriorate due to the use of Facebook by college students who have a high level of negative experience. In conclusion, we need to find positive interaction pattern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life through Facebook.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culture of technical improvement, awareness and control of negative results, and a culture of re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