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문학론’의 한국적 전유와 그 난제들 (World Literary Theory from the Korean Interpretation Perspective and Conundrum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8
33P 미리보기
‘세계문학론’의 한국적 전유와 그 난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6호 / 141 ~ 173페이지
    · 저자명 : 고봉준

    초록

    이 논문은 최근 영문학계와 비교문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문학에 던지는 질문과, 그것에 대한 한국문학계의 수용과 대응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비록 일본을 경유한 것이었지만, 한국 근대문학은 세계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때문에 한국문학에 있어서 세계문학의 영향은 새로운 문제라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근대국가의 경계선이 흐려지는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등장한 최근의 세계문학 담론은 우리가 익히 들어온 근대적 의미의 세계문학 담론과는 문제의식 자체가 다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상이함에 착안하여 먼저 ‘세계문학’ 담론의 기원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구분을 통해 19세기 괴테와 마르크스가 제기한 ‘세계문학’과 지금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세계문학’이 전혀 다른 맥락 위에 놓여 있음을 살폈다. 다음으로 이 글은 ‘세계문학’ 담론이 한국에 수용되는 양상을 비평과 국문학계로 구분하고, 전자를 다시 ‘괴테-맑스적 기획’과 ‘지구적 세계문학’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입장으로 구분했다. 전자의 경우 세계문학을 ‘기획’, 즉 운동의 방식으로 전유하는 것이 특징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세계’를 비유럽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비평적 대응 양상과 달리 국문학 연구자들은 ‘세계문학’ 담론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은 그 이유를 국문학이 ‘한국문학’이라는 중립적인 이름 대신 자국학, 즉 국학이라는 이념의 지배가 분명히 느껴지는 ‘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규정해왔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했다. ‘국문학’ 연구자에게 ‘문학’은 단순한 연구대상이 아니라 한 국가, 한 민족의 사상, 감정, 이념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문학이 ‘국문학’이라는 이름을 포기하고 ‘한국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학’에 들어서는 순간 그동안 ‘국문학’이 중요하게 내세웠던 문학적 잣대가 위태로워지는데, 바로 이 논문은 바로 이 지점이 ‘세계문학’과 ‘국문학’의 간극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지점임을 강조하려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world literature discussion debated actively in the recent English literary world and comparative literary world to Korean literature and to delve into the acceptance and responses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Korean literature began through world literary influences, although the influences were via Japan. In this regard, the influences of world literature on Korean literature cannot be said to be a novel issue. The recent world literary discussion emerg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modern countries’ boundaries become obscure is different from the world literary discussion having a modern meaning that we are familiar with in terms of critical mind.
    The origin of world literary discussion was explained in two categories based on such differences in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such a categoriz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world literature mentioned by Goethe and Marx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orld literature, a subject for current debate, are in the enormously different context. The aspect that world literary discussion is accepted in Korea was divided into criticism and the Korean national literature world, and the former was classified into Gothe-Mark style planning and a position presenting global world literature as an alternative. The feature of the former case is that world literature is exclusively possessed in the mode of planning, namely a fashion of movements, and the latter case’s feature is showing an attitude to reorganize the world into non-Europe-centered world.
    Unlike such a critical response aspect,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do not show interest in world literary discus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son as a problem occurring, because Korean national literature has defined itself as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by which the ideological dominance of own country’s literature or national literature is clearly felt, instead of the neutral name of Korean literature. To Korean national literature researchers, literature encompasses the thoughts, emotions, and ideologies of one country and one people, rather than just a research subject.
    Therefore, the moment when Korean national literature enters world literature under the name of Korean literature by giving up the nam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e literary standard considered as important thus far becomes risky.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at the very point is the one where the gap between world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 literature is sharp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