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장르판타지 수용자들의 장르 의식 연구 (A Study on Genre Awareness of Korean Genre-Fantasy Audienc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1.07
38P 미리보기
한국 장르판타지 수용자들의 장르 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미래문화 / 1호 / 35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융희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웹소설을 비롯한 다양한 서브컬처 문학군에서 호명되는 ‘장르문학Genre literature’이라는 명칭에서 ‘장르’란 고유명의 의미와 범주를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한국에서 약30년 정도의 역사를 지닌 ‘장르판타지’의 개념과 수용자층의 인식 변화이다.
    기존 문학장에서 장르문학을 해석하는 방식은 기성 세대에 대한 청년 세대의 반발 또는 IMF를 기점으로 도피와 위안의 ‘사이버 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져왔고 이러한 해석은 창작과 소비의 주체들이 순수하게 느꼈을쾌락이나 그것을 향유하는 마니아 문화로서의 정체성을 제거해왔다. 그러나 90년대의 장르문학 소비층은 아직 ‘장르’화 되어있지 않은 환상성의 파편들을 직소퍼즐을 수집하는 것처럼 접붙이는 놀이꾼들이었고, 그들이 만들어낸 작품들의 맥락은 서구나 일본의 ‘환상성’들이 가지고 있었던 근현대적 맥락에서 탈락해 오로지 유희를 위한 목적으로 전유된 것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장르판타지’의 요소들은 현실의 질서에서 벗어난 가상 세계인‘2차 세계Secondary World’ 속 영웅의 모험서사부터 시작하여 2010년대 후반부터 출간된 웹소설에서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또는 현실 그 자체에서 이루어지는 비모험 서사까지를 포괄하는 넓은 테두리를 갖게 되었고, 이것을 하나의 서사적 특질로 정의하기란 무척이나 난해한 작업이 되었다. 특히 장르판타지를 특정 젠더, 즉 남성의 욕망을 대변한 서사로 통칭하는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장르판타지’의 ‘장르’라는 기호가 과거 문학에서 호명하던 ‘장르’와 동일한 기호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금 되새겨보아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까지 ‘장르문학’ 또는 ‘장르 소설’ 등으로 부여된 작품군의 칭호가 왜 생겨났는지, 그를 둘러싼 담론이 무엇인지를 점검하고, 현대에 사용되는 ‘장르’의 의미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수용자층의 인식 변화를 추적하고 향후 장르 개념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meaning and category of the proper name of 'Genre' in the name of 'Genre-Literature', which is called in various subculture literature groups including web-novels in 2021.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cept of 'Genre-Fantasy', which has a history of about 30 years in Korea,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The method of interpreting genre-literature in the existing literary field has been made within the framework of 'Cyber-Literature' of escape and comfort from the IMF or the resistance of the younger generation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and this interpretation is the pure pleasure that the subjects of creation and consumption would feel. However, it has removed its identity as a culture of maniacs who enjoy it. However, the Genre-literature consumers in the 90s were players who grafted fragments of fantasy that had not yet been 'Genre' as if they were collecting jigsaw puzzles, and the context of the works they created wa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hat Western and Japanese 'fantasy' had. It was dropped out of the enemy context and was appropria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The elements of the 'Genre-fantasy' created in this way, starting with the adventure narrative of the hero in the 'Secondary World', a virtual world that is out of the order of reality, web novels published since the late 2010s, ‘Mixed reality’, or reality itself. It has a wide border that encompasses even non-adventure narrativ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it as a narrative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as there are cases where genre fantasy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arrative that represents the desires of a specific gender, that is, men, the meaning of the sign of 'Genre' in 'Genre-Fantasy' is the same as that of 'Genre' in the past literature. We need to reconsider what in this study, we examine why the titles of works previously given as 'Genre-Literature' or 'Genre fiction' were created, w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m was, and how the meaning of 'Genre' used in modern times was formed.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audience were tracked and how the genre concept would change in the future was predi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래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