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학자들의 고구려사·백제사 연구 (The Study of Scholars of the Practical Leaning School Concerning the History of Koguryo and Paekch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실학자들의 고구려사·백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2호 / 111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현숙

    초록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고구려·백제에 대한 인식 및 그 역사 연구에 대해 오늘날에도 관심의 대상이 되거나 논란 중인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해보았다. 그 과정에서 실학자들의 역사인식에도 華夷觀과 유교적 도덕주의에 입각한 역사해석 등이 여전히 잔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역사서술에서는 이전과 달라진 발전적인 면모가 분명히 나타났다. 중국 문헌과 국내사서들에 대한 종합적 검토 끝에 보다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는 모습이라든가, 中華主義的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든가,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우리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중원세력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는 내용들이 역사서들에 담겨져 있다. 자국중심적, 주체적, 자주적, 독립적, 실학적인 역사인식이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데 실학자들의 역사서 검토과정에서 특히 눈길을 끈 내용은 우리 고대사를 형성한 민족 및 역사영역에 대한 것이었다. 다산은 동이(조선인, 韓)를 우리 민족의 주류로 보고, 여기에 예맥(고구려, 동예, 백제)과 중국 秦의 유민(辰韓)이 일부 포함된 것으로 생각했다. 다산은 예맥을 우리 민족이 아니라고 보는 입장에서 부여사를 우리 역사에서 배재했으나, 같은 예맥의 나라인 고구려, 동예, 백제는 우리의 국가로 인정하고, 우리 역사 안에 속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이종휘의 인식과 차이가 있다. 이종휘는 혈통적으로 부여, 고구려, 백제, 예맥, 옥저, 비류, 발해가 단군의 피를 이어받은 단군족이라고 지칭하고, 이들이 우리 민족의 주류라고 인식하고, 고구려 중심으로 고대사를 서술했다.
    여기에서 조선 후기 역사학자들의 역사영역에 대한 인식이 주목된다. 혈통주의의 입장에 서서 민족의 옛 활동무대까지 모두 우리의 역사영역에 넣는 입장과, 당시의 현실 강역 범위 안에 드는 지역만을 역사영역으로 보는 입장으로 나눠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한중학계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는 고조선사, 고구려사, 부여사, 발해사의 귀속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실학자들의 역사서에는 기자조선, 고구려의 종족기원, 현도군과 고구려의 관계 등에 대해 오늘날의 한국학자들과 차이가 있는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는 중국 사서에 실린 단편적인 사료들을 과학적인 사료비판을 거치지 않고, 또 고고학적 현상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편집한 결과물이기 때문인데, 이런 점은 관련 내용에 대한 논란이 향후에도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관련 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더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historiography of Practical Learning school scholars of the late Chosun period on Koguryo and Paekche. Especially, it focuses on several topics which are still on debate or receive special attentions in the prese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opic, it was confirmed that even in the historical view of Practical Learning scholars, historical interpretation based on Han Chinese-centered perspective and Confucius moralism still existed. However, their historical writing clearly exhibits more advanced aspec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They tried to draw more reasonal conclusion after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Chinese and Korean literary sources, and to break away from the Chinese-centered world view in spite of their innate respect for China. In addition, based on the self esteem on Korean own history and culture, they strongly criticized Chinese power which tried to invade Korean independency. It is evident that their historical cognition had been well developed with Korean-centered, independent, and practical approach.
    The most noteworthy part which caught an attention in the examination of historial records by Practical Learning scholars was about the people and historical territory which formed ancient Korean history. Tasan Chong Yakyong considered Tongyi(Chosun people, Han 韓) as the main stream of Korean people, and it included a part of Yemaek(Koguryo, Tongye, Packche) and refugee from Qin 秦(Chinhan 辰韓). Tasan who judged that Yemaek was not Korean people excluded the history of Puyo from Korean history. On the other hand, he acknowledged Koguryo, Tongye, and Paekche who were the same Yemaek countries to belong to Korean country and history. This is apparently different from Yi Chonghwi's opinion. Yi Chonghwi designated Puyo, Koguryo, Paekche, Yemaek, Okjo, Piryu, and Palhae as Tangun tribe which inherited the lineage of Tangun, and considered them as the main stream of Korean people as describing Koguryo as the central kingdom of ancient Korean history It is noticed how late Chosun historians recognized historical territory si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to include old territories of Korean countries into Koran historical territory with the emphasis of blood lineage. The other was to regard the current boundary by that time as the historical territory of Korea. This is the problem directly connected to recent historical debat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cholarship concerning the ownership of the history of Old Chosun, Koguryo, Puyo, and Palhae. In some historical records of Practical Learning scholars, some different approaches from today's Korean scholars are discovered regarding Kija Chosun, the origin of Koguryo tribe, the relation of Hyondo prefecture and Koguryo, etc. They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y edited fragmentary historical records in Chinese histories without rigorous criticism of written record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necessary to pay an attention to this problem since the criticism about related contents could arise and continue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urges us to pursue further study on the relevant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