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희곡에 나타난 제국의 조선 의사들 (Chosun Doctors of the Empire Appearing in Modern Pla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06
23P 미리보기
근대 희곡에 나타난 제국의 조선 의사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3권 / 2호 / 139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주영

    초록

    서구의학을 익힌 의사는 근대에 출현한 믿음과 신뢰, 그리고 존경의 대상이었다. 이들은 조선인 대중에게 근대의 첨단 문명을 실어 나르고 그것을 몸소 체험케 했던 존재들이었다. 이 근대적 인물은 당대 가치를 극화한 근대 희곡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본 연구는 근대 희곡에 나타난 의사라는 인물을 통해 식민지 현실에서 낯설고 새로운 시공간으로 항해 달려가는 조선 사회의 시대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문학적 작업이자 노력이다.
    조선 사회에서 서구 의학이라는 근대 과학이자 기술을 선보였던 서양의들은 제국의 도움으로 그간 조선인 환자들을 치료했던 한의사들을 변방으로 밀어내고 조선 의학계의 헤게모니를 거머쥘 수 있었다. 본고 2장에서는 근대 희곡의 작품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본 장에서는 제국의 수혜를 받았기에, 일제의 호출에 발 빠르게 응답해주는 의사들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제국과 조선인 환자들이 나란히 서 있는 자리에서 조선인 환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외면하였다. 3장에서는 조선인 환자들을 진료하고 치료하는 의사와 함께 여러 이유를 대며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의사들을 살펴보았다. 후자의 의사들의 경우, 전부 조선인으로서 2장에서 언급한 환자를 외면한 의사들과 함께 자신들의 안정적 삶을 보장해줄 제국과 돈 외에는 관심이 없는 자들이었다. 4장에서는 돈과 제국을 쫓는 의사들이 역으로 환자로 전락되어 근대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존재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정리하면, 1910~30년대 희곡에 등장하는 의사들은 환자 진료와 치료에 매진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남의 물건을 탐하는 환자이자 제국의 곁에서 근대의 조선 사회를 병들게 하는 불순한 존재였다. 의사들은 제국의 수혜를 받아 성장했지만, 그 과정에서 그들은 조선인의 삶을 외면하는 제국과 닮아가고 있었다. 돈과 제국을 쫓는 의사들은 조선 사회를 병들게 하는 근대에 출현한 부작용이었다.

    영어초록

    A doctor with the knowledge of western medicine in the modern times earned trust and respect from the public. The doctors at that time were pioneers who spread the frui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o the people in Chosun and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 to experience new technologies. This type of characters who symbolize the modernization comes often into the story in modern play.
    This study is literary work and effort to examine the times of Chosun sailing from a colonial reality to a strangely new space and time through a figure of a doctor who appeared in the modern play.
    Westerners who have introduced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was known as Western medicine were able to win the hegemony of the Chosun medical community by shoving away the Korean Medicine Doctors who, with the aid of the empire, have treated the Korean patients to the frontier.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volume, we investigated these changes through the collection of modern plays. This chapter analyzed the behavior of doctors whose response to the Japanese Empire, after having been benefited from the Empire, was made very quickly. They, in presence of facing the patients from Chosun and the Japanese Empire, looked away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patients from Chosun. Chapter 3 paid close attention to the doctors who treated the patients from Chosun and to those who refused to treat by giving a variety of reasons. The doctors who belong to the latter case were all from Chosun and they focused only on the Japanese empire and money that guaranteed their stable lives, just as the doctors who neglected their patients mentioned in chapter 2. However, in chapter 4, it has been found that they became patients and they became factors that have bad effects on modern era.
    To sum up, the doctors appearing in the plays of 1910s to 1930s are depicted as people who are entirely focused in treating patients in the one hand, while as detestable beings desiring others' property and deteriorating modern Chosun society along with the empire in the other hand. Though doctors grew by receiving benefits from the empire, along the process, they closed their eyes from the lives of average people of Chosun - they were just becoming like the empire. the doctors who chased money and the empire were negativities that appeared during the modern era, which degenerated Chosu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