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키지도자들의 경기 후 코칭행동에 대한 선수들의 선호도 분석 (Case study of hockey players' reaction towards the coach's comments and behaviors right after gam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0.03
17P 미리보기
하키지도자들의 경기 후 코칭행동에 대한 선수들의 선호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코칭능력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코칭능력개발지 / 12권 / 1호 / 81 ~ 97페이지
    · 저자명 : 강건욱

    초록

    본 연구는 우수 및 일반 남녀 하키선수 총 14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경기 후 지도자가 선수에게 제공하는 코칭행동을 선수들의 관점에서 이겼을 때 듣고 싶은 말과 행동, 이겼을 때 듣기 싫은 말과 행동, 졌을 때 듣고 싶은 말과 행동, 졌을 때 듣기 싫은 말과 행동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표선수 경험을 기준으로 우수와 일반선수로 분류하여 응답사례별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이겼을 때 듣고 싶은 언행에서 우수선수 들은 격려, 칭찬, 팀 응집력, 감정표현, 보상을, 일반선수들은 격려, 칭찬, 팀 응집력, 믿음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선수들이 격려, 칭찬, 믿음, 팀 응집력, 감정표현 순으로, 남자선수들은 격려, 칭찬, 팀 응집력, 보상, 목표제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겼을 때 듣기 싫은 언행에서는 우수선수들이 비판, 외부환경, 다음대회준비, 교만한 태도 등으로, 일반선수들은 비판, 외부환경, 경기내용, 교만한 태도, 대회준비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선수들이 비판, 외부환경, 경기내용, 차별을, 남자선수들은 비판, 대회준비, 교만한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수선수들이 졌을 때 듣고 싶은 언행은 위로, 격려, 조언을, 일반선수들은 위로, 칭찬, 조언, 격려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선수들이 위로, 칭찬, 조언 순으로, 남자선수들은 위로, 격려, 조언, 칭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수선수들이 졌을 때 듣기 싫은 언행은 비판, 폭언, 자존심, 협박, 훈련량 순으로, 일반선수들은 비판, 자존심, 팀 분위기, 폭언, 협박, 체벌, 대화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선수들은 비판, 자존심, 협박, 훈련량, 팀 분위기, 폭언, 대화 등으로, 남자선수들은 비판, 폭언, 자존심, 팀 분위기, 훈련량, 책임회피 순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case is to analyze coaching leadership’s words and actions that hockey players like or dislike after a game is over. We used open-ended questionnaires to 143 male and female hockey players (divided into excellent and general players group). The comments and actions are categorized into 4 cases: 1.Comment and actions comment that players like to listen and receive when they win a game. 2. Comment and actions that players dislike to listen and receive when they win a game. 3. Comment and actions that players like to listen and receive when they lose a game. 4. Comment and action that players dislike to hear and see when they lose a game. We divided the hockey players into two groups: first group is made up with players with the national team experiences which is called Excellent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out national team experience is called as general. And we analyzed answers according to the 4 cases and the 2 groups. Firstly, comments and actions that the players like to hear and see when they win a game are like Encouragement, Praising, Emphasizing team-work and Trust from both the excellent and the general groups. The female players like to get Praises, Encouragement, Confidence and Trust in the following order. And the male players show that they like Praises, Encouragement and team-cohesiveness. Secondly, the excellent group said they don’t like to get Criticism & Blames, and Being lucky because of external factors, Mentioning about the next game and being arrogant when they win a game. The general group said that they dislike hearing Criticism & Blame, Being lucky from the external factors, Mentioning the game quality, and Being arrogant. By gender, the female players tend to hate criticism & blame, mentioning the game quality, and discrimination when male players dislike criticism & blames and referring the next game. Thirdly, when players’ lose a game, the excellent group players like to hear Consolation, Encouragement, and Advice when the general group likes to hear Consolation, Praise, and Advice and Encouragement in the order of frequency. By gender division, the female players like to hear Consolation, Praise and Advice in order, and the male players like Consolation, Encouragement, Advice, and Praises. Fourthly, when the players lose a game, the excellent players don’t like to hear Criticism & Blame, Harsh words, Hurting words on their pride, Blackmailing, Mentioning the amount of training volume in order. The general group dislikes Criticism & Blame, Hurting their pride, Team Climate, Harsh words, Punishment, and Conversation. By gender, the female players dislike to hear Criticism & Blame, Hurting their pride, Punishment, Mentioning the amount of training volume, Team Climate, Harsh words, and Conversation. The Male players mentioned that they don’t like to hear Criticism & blame, Harsh words, Hurting their pride, Team climate, The amount of training volume, and Evasion of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칭능력개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