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작은 아씨들』과 영화 <작은 아씨들>스토리텔링 전환 양상과 의미 (Conversional Aspects and Meanings of the Novel and Films of Little Wome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소설 『작은 아씨들』과 영화 &lt;작은 아씨들&gt;스토리텔링 전환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40호 / 181 ~ 208페이지
    · 저자명 : 장수경

    초록

    이 글은 루이자 메이 올콧의 소설 『작은 아씨들』과 원작소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면서 각 시대적 가치관을 반영한 세 편의 영화(1949, 1994, 2919)의 각색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원작 소설 『작은 아씨들』은 다층적인 목소리를 통해 전복의 상상력을 내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오늘날 여러 버전으로 각색되는 것은 19세기 소녀소설로 당대적 도덕관과 가치관을 담아내고 있으나, 소설의 곳곳에서 당대적 가치관에 대해 순응과 불온의 상상력을 동시에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다층적인 해석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원작 소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각색한 영화들이 각 시대의 소통욕망을 반영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이야기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모되었다는 점에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1949년 영화의 경우 원작 소설에서 낭만적 연애와 결혼에 초점을 맞추고 남성 중심 사회를 존속,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스토리텔링을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1994년 영화에서는 여성주의 시각이 강화되면서 스토리텔링도 변화된다. 1994년 영화는 조와 마치부인, 그리고 에이미의 성격을 강화하고 여성주의 시각에서 남성중심 사회의 문제점을 조망해서 보여주고자 한다. 2019년 영화에서는 현대인들의 꿈에 대한 도전과 성취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춰 조를 화자로 내세워 과거와 현재를 교차편집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누구나 소녀시절에는 자신의 꿈이 있고 낭만적인 미래를 꿈꿀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네 자매의 삶을 통해 현대인의 가치관의 변화와 소통에 대한 욕망을 반영해서 각색되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strategic adaptation of three versions of film based on the different periods, to tell the story of the original novel Little Women. They are focusing on narrative structures and personality changes of the characters. For this, I will examine how the main stream of storytelling are changed from the original novel to the 1949 film, the 1994 film, and the 2019 film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two perspectives in the original novel of Little Women opens up diverse possibilities for interpretation. First, it directly reveals on the surface of the novel as an edifying message through contents that provide education on femininity that was demand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it displays subversive imagination, taking advantage of existing cultural values and morals. In particular, the original novel opens up possibilities for new interpretations in that it conflicts with contemporary moral views or values through the lines or action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The mixed values of the original piece also affected the reinterpretations of the three films.
    The 1949 film focuses on the romantic lives and marriages of the daughters to compose the whole narration, reproducing a story of a moral family saga. Therefore, the 1949 film is limited in that it reproduces male-centered and traditional values by focusing th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lives of families and women on marriage instead of on the unique character compositions of each character.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1994 film and the 1949 film and they reveal values of changed feminity. The 1994 film changed the personalities of some of the characters to externally reveal subversive voices on traditional feminity and it reveals the changed values and morals of today in that the film was made from perspectives that support feminism.
    The 2019 film reinforces feministic views dealt with in the 1994 film and focuses even more on narrations through which the characters attempt to fulfill their dreams. This piece places the character of ‘Jo’ in the center to show narrations of a sense of challenge and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dreams of today and develops the stories of the four daughters through cross editing. The 2019 film displays view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994 film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reinterpretations of hidden meanings in the original piece to be appropriate for today by reinforcing the characters of ‘Jo’ and ‘Amy’ and their processes of dream fulfillment.
    Like this, the novel Little Women has elements of newness in that it shows possibilities of diverse interpretations through the rich imagination and multi-layered problem awareness of the original work.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original Little Women will graft with diverse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to display free ima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