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A+地+V’,‘V+得+A’구문 사용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Use of Chinese Structure ‘A+de+V’ and ‘V+de+A’ by Korean Learner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6.06
25P 미리보기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A+地+V’,‘V+得+A’구문 사용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연구 / 67권 / 113 ~ 137페이지
    · 저자명 : 노지영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구문 ‘A+(地)+V’, ‘V+得+A’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두 구조는 한국어에서 하나의 구조로 대응되기 때문에, 중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은 어떤 상황에서 ‘A+(地)+V’ 구조를 선택하고 어떤 상황에서 ‘V+得+A’ 구조를 선택해야 하는지 어려워하고, 이를 학습상의 난점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는 제2언어 습득이론과 중간 언어의 각도에서 30만자 분량의 학습자 및 모국어화자의 구어 데이터를 자료로 한 학습자코퍼스와 모국어화자코퍼스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A+(地)+V’, ‘V+得+A’구조에 대한 사용 상황 및 습득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모국어와 유사한 형식인 ‘A+(地)+V’ 구조는 쉽게 습득하였으나, ‘V+得+A’ 구조는 사용을 회피하거나 오류를 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두 구조는 형용사가 [+방식] 또는 [+결과]의 의미를 나타내는지, 또 서술어가 [+묘사성] 또는 [+평가성]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그 통사적 구조의 선택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오류는 학습자가 해당 구조에 출현하는 서술어와 형용사의 유형 및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는 시간순서 원칙에 부합하는 언어로서 해당 원칙은 ‘A+(地)+V’, ‘V+得+A’ 구조의 선택 기제로도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two aspects: use of vocabulary and use of structures. First, the learners analyzed in this research commanded roughly half of the vocabulary of the native speaker used by the native speaker. In addition, they used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adjective types used by the native speaker. Though the level of their Chinese is intermediate or higher, the learners' vocabulary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at of native speakers when compared based on the same volume of corpus.
    Second, of the two sentence structures, ‘A+de+V’ and ‘V+de+A,' the learners more frequently used the ‘A+de+V’ structure which is similar to a structure found in their first language. This is in line with the expectation that learners would easily acquire a sentence structure if such a structure exists in their own language, and this phenomenon is attributable to positiv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Third, the learners demonstrated a rather limited use of the ‘V+de+A’ structure. They had a tendency to use a structure where a few particular adjectives and predicates were combined, and the number of adjectives they used in the structure was also very limited. In short, the learners had little trouble acquiring the ‘A+de+V’ structure where sentence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same way as in their native tongue, whereas they tended to avoid the ‘V+de+A’ structure whose equivalent structure does not exist in their native language.
    Research on interlanguage is often conducted with a limited collection of individual utterances of students that the teacher experienced. On the other hand, learner corpus-based research can be valuable in that it enables more realistic identification of the interlanguage of learners and it could also systematically provid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the learner's usage of the language in question. More effective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would be possible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nterlanguage are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identified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realistic data and if this helps the teacher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ifferentiated approaches depending on the language being taught. In this regard, corpus-based teaching and research has various implications for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