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산 신득구의 天說에 대한 논쟁 연구 (A Study on the Dispute over Nongsan Shin Deuk-koo's Contention of the Ch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6
35P 미리보기
농산 신득구의 天說에 대한 논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5호 / 329 ~ 363페이지
    · 저자명 : 김소희

    초록

    맥을 이어받았다. 신득구는 기호계열의 학맥과 지역 유학자로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艮齋田愚, 淵齋宋秉璿, 立齋宋近洙, 梅泉黃玹등 다양한 학자들과 교유하며 사상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1891년 송병선이 조선 성리학의 도통을 정리하기 위해 편찬한 近思 續錄의 교정작업 중 신득구는 “하늘에는 血肉의 氣가 없기 때문에 道心만 있을뿐이다.”라는 율곡 이이의 어록을 비판하였으며, “하늘에도 人心과 같은 類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신득구의 주장은 영호남 곳곳에 퍼졌다. 영호남의 유림들은신득구의 설에 대해 단순한 문제가 아닌 斯文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異說이라 판단하고, 이에 대해 성토하였다. 신득구는 이에 반박하였으나 결국 사류의압박에 파문당하게 되고, 금강산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돌아가도 집이 없다.” 라고 탄식하며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신득구를 성토하는 일에 앞장선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성리학적 성향이 강한 유학자들이며, 송병선과 기정진의 문인들 혹은 그들과 교유했던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었다. 이들은 스승인 송병선과 기정진의 위정척사사상에 따라 강력한 위정척사적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신득구의 天說에 관한 논쟁은 19세기 말 성리학이 몰락해가는 과정 속에서유학자들의 위기의식과 대응방식을 살펴볼 수 있는 단적인 사건으로서 의의가있다.

    영어초록

    Nongsan Shin Deuk-koo was born in 1850 and studied under Gosan Im Heon-hoe to inherit the academic heritage of Nakron of the Kiho School.
    Based on his academic heritage in the Kiho School and his position as a local Confucian scholar, Shin had a social intercourse with various scholars including GanJae Jeon U, Yeonjae Song Byeong-seon, Ipjae Song Geun-su, and Maecheon Hwang Hyeon and formed his own ideology.
    In 1891, he did proofreading for Geunsasokrok published by Song Byeong-seon to arrange the lin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It was followed by the Yeonjae Scholars' faction attacking him. Criticizing the quotation of Yulgok Lee Il "There is no Ki of blood and flesh but only the moral mind in the Heaven," Shin maintained that "There is a type of human mind in the Heaven, as well." This fact was spread all around Yeongnam and Honam as well as among the literary figures under Byeong-seon Song. The Confucian scholars of Yeongnam and Honam decided that his argument was not a simple problem but a heresy to have huge impacts on Neo-Confucian scholars and started to censure his argument. He refuted the letters but was eventually expelled by the pressure of Neo-Confucian. On his way back from Mt. Geumgang, he said "There is no home for me there" in lamentation, left a will, and killed himself.
    Confucian scholars with a strong Neo-Confucian tendency took the lead in denouncing Shin. The literary figures under Song Byeong-seon and Ki Jeong-jin or those who had a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played a central role. Following Wijungchuksa of their masters Song Byeong-seon and Ki Jeong-jin, they had very strong Wijungchuksa consciousness. In short, the dispute over Shin's contention of the Chon was not a simple Neo-Confucian dispute but a direct significant event to show the Confucian scholars' consciousness of crisis and coping methods in the process of Neo-Confucianism collapsing in the lat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