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SF만화·애니메이션 속 휴머노이드의 속성 고찰 (The character of humanoid drawn by Japanese SF Manga and anim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24.04
28P 미리보기
일본 SF만화·애니메이션 속 휴머노이드의 속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46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본고는 인공지능이 현실 생활에 크게 들어오게 된 요즈음, 특히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거나 인간 생활에 편리를 위한 로봇 개발 분야에서 일본이 앞선이유를, 사물에 대한 일본인의 독특한 감각의 발현에서 찾는 종래의 일본문화론을 되돌아보았다. 그리고 그런 기술의 발전에 일본 로봇 애니메이션의영향을 염두에 두고, 비교적 근년에 출판, 또는 방영되어 크게 인기를 얻은 SF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로봇 또는 휴머노이드의 성격을 특히 불교의개념을 빌려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인간의 ‘로봇화’와 로봇의 ‘인간화’ 가 공존하는 장에서, 인간의 자아 문제와 인간다움에 대해 일본인이 보이는인식의 일단을 살피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본문의 작품들에 등장하는 로봇과 휴머노이드는 고뇌하는 가운데 인간과공존하는 세계에서 나와 가까운 또는 나의 먼 이웃의 아픔과 슬픔을 함께 하려는 존재로 그려지는데, 이는 불교철학에서 중시하는 보살의 보시행으로서 읽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잃어버린 혹은 잊고 있던 ‘인간성’에 대한 되물음이 필요한 시대임을 다시 한번 강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접근할 때, 새로운 타자와 공존해야하는 현실을 맞닥뜨린 우리에게 유의미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sits traditional Japanese cultural theory, which finds the reason why Japan is leading in the field of robot development for replacing human labor and convenience in life, especially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coming a major part of real life, from the unique sense of Japanese people towards objects.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robot animation on the development of such technology, it has examined the character of robots or humanoids appearing in SF comics and animations that have been published or broadcasted in recent years and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especially borrowing the concept of Buddhism. These works provide a clue to the perception of Japanese people about the self-problem of humans and humanity in a scene where the ‘robotization’ of humans and the ‘humanization’ of robots coexist. The robots and humanoids appearing in the works of this text are drawn as beings who want to share the pain and sorrow of my close or distant neighbors in a world where they coexist with humans while suffering, which can be read as a Bodhisattva’s Bodhisattva practice, which is emphasized in Buddhist philosophy. When approached as revealing once again that it is an era when we need to question the ‘humanity’ that we have lost or forgotten, it will be meaningful to us who face the reality that we have to coexist with new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