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수정(觀水亭)’ 차운시를 통해서 본 누정의 이미지화 ― 송흠(宋欽)과 오응석(吳應錫)의 두 ‘관수정’을 중심으로 ― (Visualization of Nujeong through Rhyme-borrowing ‘Gwansujeong’ Poems ―Focus On Song Heum and Oh Eung-seok’s Two Gwansujeong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관수정(觀水亭)’ 차운시를 통해서 본 누정의 이미지화 ― 송흠(宋欽)과 오응석(吳應錫)의 두 ‘관수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41호 / 195 ~ 218페이지
    · 저자명 : 오기주

    초록

    누정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하고 벽이 없이 지은 집인 누각과 정자를 함께 일컫는 말이다. 누정의 창건은 퇴사나 낙향한 선비들이 노년을 한가롭게 지내기 위한 장소로 또는 그들을 위해 문중이나 제자, 친지들이 창건하거나 초야에 묻힌 선비가 혼자만이 소유할 수 있는 은일공간으로 창건하였다. 그러나 이 누정의 공간은 개인만이 아니라, 향리의 문화공간으로 자리 매김했던 것도 사실이다.
    산재한 많은 누정 중에서 송흠(宋欽)과 오응석(吳應錫)의 ‘관수정(觀水亭)’ 자료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 하면 송흠의 경우는 환로에 나갔다 낙향한 조사(朝士)이고 오응석은 향리에 머물면서 은일자적인 자세로 살았던 처사(處士)이다. 또한 두 사람의 누정의 전승과 계승의 측면을 엿볼 수 있는 문서자료가 현존한다. 두 누정은 오늘날에도 전남 장성군과 광주시 광산구에 소재하지만 거리가 40여리 정도로 매우 가깝다.
    후인들의 차운시는 두 사람의 지위와 관련하여 이미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송흠의 경우는 金安國 등 동료나 梁彭孫 朴祐 등 제자 그리고 吳謙 金麟厚 등 후인들의 시에서 그의 고매한 인품의 경모를 드러냈다. 그리고는 아들 宋益憬은 더 나아가 ‘관수정’에 아버지를 투사하여 가훈으로 마음에 새기겠다고 하였다. 이처럼 모든 이가 송흠이 관수정에 낙향하여 삶았던 모습을 경모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 있다. 이러한 기록이 『知止堂遺稿』에 전해지고 있다.
    오응석의 경우는 처사로서의 존귀한 인품과 학덕을 선양하려 하였다. 향리의 후학들은 관수정을 선계로 그리고 은일자로의 고고한 삶을 영위했던 삶을 선양하였다. 문중의 후손 吳相華 吳邦善 吳潤善 吳泰洙 吳亨洙 吳甲洙 吳旺根 등은 할아버지의 깨끗한 인품을 더더욱 선양하였다. 이러한 선양을 오래도록 보존하고자 『錦城世稿』를 발간하였으며 1992년 광주직할시에서 발행한 『樓亭題詠』에 등재하기도 하였다.
    결국 두 누정의 주인에 대한 차운시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선현의 칭송인 선조나 스승에 대한 찬미와 효사상의 발로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Nujeong (樓亭), which has the floor high up from the ground without walls so as to view all sides, means “tower and pavilion.” Nujeong were erected as a place for scholars retired or leaving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e countryside to spend their elderly years leisurely, or Nujeong were erected by such scholars’ clans or their disciples or their relatives or were erected as a seclusive space for such individual scholars to live in alon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Nujeon space was settled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local cultural space.
    Among many local Nujeong, our attention is paid to materials from Gwansujeong Pavilions of Song Heum and Oh Eung-seok. That is because Song Heum served as a governmental official and retired, while Oh Eung-seok, while staying in the countryside, lived a seclusive quiet life. Literary documents have remained that give a glimpse of the two persons' Nujeong lifestyles. The two Nujeong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within a distance of about 16km that are located in Jangseong-gun, Jeollanam-do and in Gwangsan-gu, Gwangju.
    Later generations wrote poems by borrowing the two persons’ poetic rimes, which made different images between two persons. Poems written by Song Heum's colleagues or his disciples and later generations revealed their respect for his upright personality. Furthermore, these injected the father image into Gwansujeong, and embraced the teaching as their family motto. As such, all focused on respecting Song Heum who left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countryside.
    Poems dedicated to Oh Eung-seok embraced his honorable personality and scholarly virtue. Local disciples described Gwansujeong as a divine world and embraced his upright and solitary life. Descendants of his clan further embraced their grandfather's clean personality. Such efforts were made presumably for the purpose of uniting their clan in early 20th century.
    From the poems borrowed from the dwellers of the two Nujeong, it is presumed that their descendants praised their forefathers and teachers and embraced the spirit of filial p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