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쟁점과 어려움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 두 학교 현지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Issues, difficulties and notes of anthropological field-work for policy research in secondary school: based on the field-work experience of two secondary school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5.06
36P 미리보기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쟁점과 어려움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 두 학교 현지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2호 / 419 ~ 454페이지
    · 저자명 : 전은희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두 학교에서 수행된 현지연구 사례에 기초하여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쟁점과 어려움 및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살펴보았다. 정책연구를 위한 현지연구의 쟁점들을 살펴보면, 먼저 연구현장 선정이나 허락을 얻는 것은 상대적으로 용이했다. 또 교감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주요한 과제가 되고 있었으나 교감들은 연구협조에 소극적이었으며, 연구과정을 통제, 관리하고자 하기도 하였다. 교사들은 교감의 명을 따라 흔쾌히 연구에 협조하는 듯했으나, 연구참여에 대한 불안과 부담, 교실개방에 대한 거부가 있었다. 그러나 정책연구의 한정된 시간과 그에 따른 짧은 현지연구 기간으로 인해 래포를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아울러 교실참관과 수업참관을 위해서는 담임 교사는 물론이고 매시간 담당 과목 교사의 허락을 얻어야 했는데. 이로 인해 자료수집이 더욱 어려웠다. 학생들은 연구참여자가 된다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인 태도로 임했으나. 학원 등 개인적인 사정으로 연구참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는 못했다. 이상에 기초하여 정책연구를 위한 중고등학교 현지연구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정책연구 상황에서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의 동의가 형식적인 것일 수 있음을 숙지하고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연구협조나 정보제공에 소극적인 교감을 대신해 학교교육 계획서와 교내 안내문, 교사들의 협조 등을 통해 연구관련 정보를 구해야 하며, 교실참관과 수업참관이 어려운 경우 그 범위를 축소하거나 단체활동으로 대신할 수 있다. 교사들과 연구일정을 원만히 조정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심정적 상태와 상황, 일정을 고려하고 우선시해야 하며 래포가 형성된 연구참여자의 도움과 연구자에게 허락된 연구협조들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지적하고 한국의 학교 현지연구에 대한 잠정적 가설들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based on the field-work of two secondary schools was designed to explore issues, difficulties and notes of anthropological field-work for policy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esearcher would find that it is easy to gain a admission into the school and get a consent on the research compared with other individual researches. The researcher should interact with vice-principal for the study scheduling and intermediation of study participant, face and deal with non-cooperations of vice-principal. In addition, the field-worker must not only get motivations for the research out of teacher-coworkers who usually are inactive and halfhearted for study support, but also handle the changeable situations of student-coworkers who are hardly have spare time for interviews in their school time and very busy for private schedule after school. Furthermore, there are generally some periods such as examination periods, vacations and school event day etc. which the research activities are not allowed in schools, so that the practical research time turned out to be much shorter than official term of the research.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some attention points for the researcher who try to do a fieldwork for policy research in secondary schools. Most of all, the fieldworker should not be excited about the formal, superficial allowance on the research and, instead, seek after every consent of the each coworker one by one explaining the purpose or method of research in detail. In addition, in case one would happen to meet uncooperative, disobliging vice-principal, it would be better to find out alternative ways such as referring to informations provided by other teachers, various posts or bulletins on the wall of the school to collect data rather than just depending on vice-principal and looking for his information. The fieldworker, at the same time, should not only put the situation of coworkers’ before one’s own to give an impulsion for fieldwork itself, but also try to make full use of opportunities offered to oneself to make another chances for data-collec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