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들은 왜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가?: 두 중학교 학생들의 사회과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Why are They Engaged as Agnet in Clas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wo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s with Social Studies Class Particip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09
25P 미리보기
그들은 왜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가?: 두 중학교 학생들의 사회과 수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 / 63권 / 3호 / 5 ~ 29페이지
    · 저자명 : 송민섭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중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활동과 주도적으로 참여한 원인에 대해 탐구함으로써사회과 맥락에서의 학생 주도성 함양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중학교 현장의 학생중심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A중학교 학생들은학생 개별 맞춤형 수업으로서 ‘코스웨어 워크북 기반 학습’에서 ‘자기 생각을 만드는 공부’와 ‘체험을 통한 배움’, ‘퀴즈 게임을 통한 협동’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주도적으로 학습한 이유로 ‘사회과 학습의 재미 인식’, ‘학습의 주체로서 자각’, ‘모둠에 기여하기’를 이야기하였다. 다음으로 B중학교 학생들은 학생 주도의 프로젝트수업으로서 ‘나도 시민이다 프로젝트 수업’에서 ‘선택의 자유가 있는 공부’, ‘우리 주변의 문제를 통한 배움’, ‘토의를통한 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주도적으로 학습한 이유로 ‘사회과 학습의 유용성 자각’, ‘발전의 주체로서자각’, 모둠을 이끌기’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사회과 학습의 재미와 의미를통해 학습 목적과 지향성을 형성할 때 사회과 맥락에서의 학생 주도성이 나타나고 또 길러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제언으로서 첫째, 사회과 수업의 학습 내용이 지닌 생활 관련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학생들이 사회과의학습 내용과 과제를 재미있고 현실에서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할 것, 둘째, 교사가 학생에게교과에 대한 재미와 의미를 자각시켜서 교과 학습의 목적과 지향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안을 수업에 적용할 것, 셋째, 학생의 기초 소양과 동기 수준에 적합한 학생 주도성 지원 전략을 수립할 것, 넷째, 학생들이 관계 속에서학습하도록 하면서 각자가 가진 모둠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모둠 활동을 조직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gai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student agency in social studies contexts by exploring the activities students engaged in during social studies classess and the reasons for their agentic actions. To this en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in student-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at two middle school sites were explor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at Middle School A took the initiative to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studying to create their own thoughts’,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cooperation through quiz games’in a “courseware workbook-based learning” as a personalized learning, and cited ‘self awareness as an agent of learning’, ‘perceiving the fun of social studies learning’, and ‘contributing to the group’ as reasons for their agentic actions. Next, students at Middle School B actively participated in ‘studying with freedom of choice’, ‘learning through problems around us’, and ‘collaboration through discussion’ in the “‘I am a citizen’ project-based instruction” as a student-led project-based learning, and reported ‘recognizing the usefulness of social studies learning’, ‘recognizing themselves as agents of development’, and ‘leading a group’ as reasons for their active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student agency in social studies contexts can emerge and be fostered when students and their peers engage in learning that is relevant to their lives, and when they shape their learning purposes and orientations through the fun and meaningfulness of social studies learning.
    The authors suggest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1) make social studies content sufficiently relevant to life so that students find social studies content and tasks enjoyable and meaningful in their lives; 2) take a deliberate approach to student agency and build ways for teachers to recognize students' enjoyment and meaningfulness of the subject; and 3) develop strategies to support student agency that are appropriate to students' basic skills and motivation le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