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불이원론(不二元論)에 대한 두 가지 해석 :법장(法藏)과 원효(元曉)의 주석을 중심으로 (Two Interpretations of Non-duality Presented in the Awakening of Faith)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1.12
20P 미리보기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불이원론(不二元論)에 대한 두 가지 해석 :법장(法藏)과 원효(元曉)의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7호 / 77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수미

    초록

    동아시아 불교 전통의 핵심적 논서 가운데 하나인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알라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이라는 두 개념을 결합시킨다는 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식 전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라야식이 생멸하는 망식(妄識)으로 여겨지지만, 『기신론』에서 알라야식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여래장과 생멸심(生滅心)이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一非異]의 상태의 화합식(和合識)으로 설해져 있다. 불생불멸과 생멸, 혹은 진(眞)과 망(妄)의 화합식으로서의 알라야식의 개념은, 당시 공(空)과 유(有)의 대립이나 불성(佛性)을 둘러싼 논쟁적 상황 속에서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와 중국의 법장(法藏, 643~712)과 같은 불교 논사들이 주목한 개념이었다. 대표적인 『기신론』 주석가로 알려져 있는 원효와 법장은 모두 여래장과 생멸심이 비일비이(非一非異)의 상태로 화합한 것으로서의 알라야식 개념을 바탕으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의 불이원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 두 논사가 공통적으로 여래장과 생멸심의 불이원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흔히 간과되고 있는 점은 불이원성에 대한 이들의 해석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원효는 ‘비일비이’의 해석에 있어서 ‘비일(非一)’과 ‘비이(非異)’라는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를 ‘비일’과 ‘비이’의 상태를 극복한 후에 도출되는 새로운 상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원효가 ‘비일’ 및 ‘비이’의 경우를 ‘비일비이’와 공존하는 것으로 보는 한편, 법장은 ‘비일비이’의 상태에서는 ‘비일’ 혹은 ‘비이’의 상태가 결코 공존할 수 없다고 보는 두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불이원성에 대한 두 논사의 해석의 상이성은 당시 논쟁의 중심이 되었던 중관, 신유식, 구유식 사상에 대한 두 논사의 입장의 차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Awakening of Faith,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reatises in East Asian Buddhism, is well known for its synthesis of two concepts of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In the Yogācāra tradition, ālayavijñāna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deluded consciousness, in which karmic seeds arise and cease at every moment. However, the Awakening of Faith describes it as a combined consciousness, in which neither-arising-nor-ceasing tathāgatagarbha is combined with arising-and-ceasing mind in a neither-identical-nor-different, or non-dual, condition.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drew attention from Buddhist exegetes, such as Wŏnhyo (元曉, 617~686), Fazang (法藏, 643~712), in polemic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octrinal disputes between emptiness (viz., Bhāvaviveka's [ca. 500~570] Madhyamaka view) and existence (via., Dharmapāla's [ca. 6th century] Yogācāra view) or the controversial notion of Buddha-nature. As representative commentators of the Awakening of Faith, Wŏnhyo and Fazang both sought to demonstrate the non-duality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by drawing upon the notion of ālayavijñāna, the combined consciousness. One thing overlooked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commentators commonly focused on the non-duality of tathāgatagarbha and arising-and-ceasing mind is that they had distinct understandings of the non-duality. Wŏnhyo considered the “non-duality” as encompassing both “not-idential” and “not-different” states, Fazang regarded it as their alternative. Such distinct views of the non-duality further represent their positions on doctrinal tensions between Madhyamaka, New Yogācāra, and Old Yogācāra in the contemporary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